진실하지 않으면 만물이 있을 수 없다는 고사성어 불성무물(不誠無物)
중용(中庸) 25장에 실린 글이다.
誠者(성자) 物之終始(물지종시) 不誠無物(불성무물) 是故君子誠之爲貴(시고군자성지위귀)
진실이란 만물의 시작이자 끝이고 진실하지 않으면 만물이 있을 수 없다. 그러므로 자기 주도적인 군자는 진실을 고귀한 것으로 여긴다.
진실로서 성(誠)은 일의 끝이자 시작이다. 무슨 일이든 진실과 결합하지 않으면 정점을 찍었다가 거품처럼 사라지고 진실과 결합하면 억울하고 힘겨운 과정을 겪더라도 누려야 할 것을 되찾게 된다. 이로써’ 誠者(성자) 物之終始(물지종시)’는 처음에는 시비(是非)와 곡직(曲直)을 제대로 가리지 못하여 그릇되더라도 모든 일은 결국에 가서는 반드시 정리(正理)로 돌아간다는 사필귀정과 통한다. 성(誠)과 정(正)은 서로 통하기 때문이다.
중용(中庸) 25장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불성무물(不誠無物)이다.
불성무물(不誠無物)이란 진실하지 않으면 존재가 즉 만물이 있을 수 없다는 뜻이다.
'고사 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는 사람에게서 멀리 떨어져 있지 않다는 고사성어 도불원인(道不遠人) (0) | 2021.05.21 |
---|---|
그만 두지 않으면 오래 간다는 고사성어 불식즉구(不息則久) (0) | 2021.05.13 |
널리 배우고 돈독하게 실천하라는 고사성어 박학독행(博學篤行) (0) | 2021.05.09 |
서민이 중용의 가치대로 살지 않은 지 오래되었다는 고사성어 민선능구(民鮮能久) (0) | 2021.05.04 |
도리나 이치에서 벗어나는 해괴한 짓을 행한다는 고사성어 소은행괴(素隱行怪) (0) | 2021.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