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보다 못한 사람에게 모르는 것을 묻는 것이 부끄러운 일이 아니라는 고사성어 공자천주(孔子穿珠)
공자(孔子)가 진(陳)나라를 지나갈 때 있었던 일화이다.
어느날 공자는 지인에게서 진기한 구슬 하나를 얻었다. 희안하게도 구슬에는 구멍이 아홉 개의 구비가 있었다. 공자는 아무리 구슬 구멍에 실을 꿰려고 여러 가지 방법을 다 동원했지만 성공할 수 없었다.
문득 공자는 바느질하는 아낙이라면 문제 해결방법을 알지 않을까'하는 생각에 뽕밭에서 일을 하고 있는 아낙에게 그 방법을 물었다.
이야기를 들은 아낙은 공자에게 이렇게 대답했다. "꿀을 쓰면 방법이 있을 것 같아요"라고 말한다. 공자는 그 말대로 조용히 차근차근 생각을 해보았다.
잠시 후 그녀의 말의 의미를 깨닫고 무릎을 탁 쳤다. 그리고는 나무 아래로 왔다갔다 하는 개미를 한 마리 붙잡아 그 허리에 실을 매었다. 그리고는 개미를 구슬의 한쪽 구멍으로 밀어넣고, 반대편 구멍에는 아낙에게 얻은 아이디어를 살려 달콤한 꿀을 발라 놓았다. 그 개미는 꿀 냄새를 맡고 이쪽 구멍에서 저쪽 구멍으로 나왔다. 이리하여 구슬에 실을 꿸 수 있게 되었다.
중국 송(宋)나라의 목암선경(睦庵善卿)이 편찬한 조정사원(祖庭事苑)에 나오는 일화이다. 이 일화는 현대를 사는 우리들에게 배우는 일에 있어 나이나 신분은 크게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시사한다. 不恥下問(불치하문)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결코 부끄럽게 여기지 않는다는 논어(論語)의 말과 궤를 같이 한다.
"세 사람이 길을 가면 그 중에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다."는 말이 있다. 하루 하루 배움에 있어 신분과 나이를 가리지 말고 겸허한 자세로 지식을 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목암선경(睦庵善卿)이 편찬한 조정사원(祖庭事苑)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공자천주(孔子穿珠)이다.
공자천주(孔子穿珠)란 공자가 시골 아낙에게 물어 구슬을
꿰었다는 뜻으로, 자기보다 못한 사람에게 모르는 것을 묻는 것이 부끄러운 일이 아님을 가르쳐 주는 말이다.
진리를 탐구하는 사람은 하찮은
촌부에게 묻는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는다는 말이다. <꽃사진: 백일향>
'고사 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바르지 못한 짓을 하고도 예사롭게 여겨 부끄러워 하지 않는다는 고사성어 염불위괴(恬不爲愧) (0) | 2019.05.29 |
---|---|
하찮은 것으로 귀한 것의 가치를 빛낸다는 고사성어 공옥이석(功玉以石) (0) | 2019.05.23 |
겉모습은 부드러우나 마음 속에는 품은 생각이 있다는 고사성어 면리장침(綿裏藏針) (0) | 2019.05.17 |
두 마음을 품지 말라는 고사성어 무이이심(無貳爾心) (0) | 2019.05.15 |
인생의 덧없고 짧음을 이르는 고사성어 극구광음(隙駒光陰) (0) | 2019.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