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시적인 이익을 쫓다 갖고있는 것까지 잃음을 비유하는 고사성어 도견상부(道見桑婦)
진(晉)나라의 문공(文公)이 나라 밖으로 나가 제후들을 모아 위(衛)나라를 토벌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해 공자(公子) 서(鋤)가 하늘을 우러러보며 크게 웃었다.
이를 본 문공(文公)은 그에게 물었다.
『그대는 어찌하여 웃는 것이냐?』
공자(公子) 서(鋤)가 말하기를,
『臣笑隣之人有送其妻適私家者 道見桑婦 悅而與言 然顧視其妻 亦有招之者矣 臣竊笑此也
신은 이웃 사람 생각을 하고 웃었습니다. 이웃 사람 중에 그 아내가 친정으로 가는 것을 배웅하는 자가 있었는데, 아내를 배웅하다가 길에서 뽕잎을 따는 여자를 보고 즐겁게 그 여자와 이야기를하다가 자신의 아내를
돌아보니 그 아내 역시 손짓하여 부르는 남자가 있었습니다. 신은 이 남자의 일을 생각하고 웃은 것입니다.』
진문공(晉文公)은 그 말의 의미를 깨닫고 위(衛)나라를 토벌하려는 계획을 멈추고 돌아왔다. 진문공(晉文公)이 미처 돌아오지 못했을 때 진(晉)나라의 북쪽을 침략하는 자가 있었다.
열자(列子) 설부편(說符篇)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도견상부(道見桑婦)이다.
도견상부(道見桑婦)란 길에서 뽕나무를 보고 여자와 말을 한다는 뜻으로 눈앞의 일시적인 이익을 쫓다 기존에 갖고 있던 것까지 잃는다는 뜻이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남도 할 수 있다는 비유로 지나친 욕심을 경계하는 말이다. 누구나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는 일을 가지고 자기만 한다는 착각에 빠져 작은 이익을 찾아 뛰어들었다가 기왕에 가지고 있던 것마저 잃게 된다는 뜻이다.
'고사 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떤 사태를 극적으로 원만히 처리하였다는 고사성어 원문사극(轅門射戟) (0) | 2015.06.22 |
---|---|
분수에 맞지 않는 보물을 지니면 재앙을 부른다는 고사성어 회벽유죄(懷璧有罪) (0) | 2015.06.19 |
위험한 자리에 개의치 않고 대담하게 행동하는 것을 뜻하는 고사성어 단도부회(單刀赴會) (0) | 2015.06.15 |
조금의 허술함도 없는 완전한 대책을 이르는 고사성어 만전지책(萬全之策) (0) | 2015.06.13 |
어려운 상황에서도 평소처럼 담소를 하는 태도를 일컫는 고사성어 담소자약(談笑自若) (0) | 2015.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