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인재에 대한 예우를 다하라는 고사성어 일목삼착(一沐三捉)

박남량 narciso 2016. 6. 15. 14:24


인재에 대한 예우를 다하라는 고사성어 일목삼착(一沐三捉)



一沐三捉   一飯三吐(일목삼착 일반삼토)

한 번 머리를 감을 동안이라도 머리를 세 번 움켜쥐고  밥 한 끼 먹는 동안에도 세 번 음식을 뱉는다는 뜻이다. 인재는 오는 것을 그저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찾아다니는 것이다. 일목삼착(一沐三捉)의 정신과 일반삼토(一飯三吐)의 정신은 오늘날 지도자가 귀 기울여서 들어야 할 이야기이다.

공자(孔子)가 꿈꾸었던 가장 바람직한 정치가는 주나라 주공(周公)이었다. 주공(周公)은 청렴(淸廉), 신중(愼重), 근면(勤勉)의 바람직한  공직자 윤리를 보여준 가장 이상적인 지도자였다. 주공(周公)은 엄청난 인재욕심이 있었다고 한다. 수많은 사람을 만나고 관계를 아주 잘 맺었으며 인재라고 생각하면 그를 등용하고자 최선을 다했다고 한다.

주공(周公)은 그의 아들 백금(伯禽)에게 교만하지 말고 인재를 우대하라는 당부를 하면서 일목삼착(一沐三捉) 일반삼토(一飯三吐)하라는 자신의 인재 우대 경험을 당부하고 있다.

주공(周公)은 한 번 머리를 감을 동안이라도 인재가 찾아왔다는 소식을 들으면 감던 머리를 움켜쥐고 물묻은 채로 세 버이나 나가서 만났다고 한다. 머리를 감고 있었으면 물에 젖어 있을 것인데 그 와중에도 인재를 만나러 나갔다는 것은 인재에 대한 예우를 다했다는 것이다.

주공(周公)은 또한 밥 한 끼 먹는 짧은 시간에도 인재가 찾아왔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먹던 음식도 뱉고 나가기를 세 번이나 했다고 한다. 인재사랑에 대한 그의 열정을 보여주는 이야기이다.


사기(史記)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일목삼착(一沐三捉)이다.

일목삼착(一沐三捉)이란 한 번 머리를 감을 동안이라도 머리를 세 번 움켜쥔다는 뜻으로 머리를 감다가도 인재가 찾아오면 젖은 머리채를 움켜쥐고 사람을 만난다는 말이다. 인재를 우대하라는 의미이다.<곷사진: 꽃무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