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인간도 물들이는 방법에 따라 변한다는 고사성어 묵자비염

박남량 narciso 2008. 10. 13. 17:05

 


인간도 물들이는 방법에 따라 변한다는 뜻의
고사성어 묵자비염(墨子悲染)


                  제나라의 환공은
                  관중과 포숙에게 물들었고
                  진나라의 문공은
                  호언과 곽언에게 물들었으며
                  초나라의 장왕은
                  손숙과 심윤에게 물들었고
                  오나라의 합려는
                  오원과 문의에게 물들었으며
                  월나라의 구천은
                  범여와 대부종에게 물들었다.
                  이 다섯 사람은 그래도 물이 잘 든 셈이다.
                  그 때문에 제후들의 패자가 되어
                  그 공적과 명예를 후세에 전할 수 있었던 것이다.

                  묵자의 소염편에 실린 글이다.
                  묵자비염(墨子悲染)이란 고사성어는
                  묵적이 염색하는 방법에 따라
                  실이 물드는 것을 보고 슬퍼하며 울었다는
                  고사에서 연유한 말이다.
                  그러나 그것은 실만이 아니라
                  인간도 물들이는 방법에 따라 변한다는데
                  두려움을 느껴 울어 버린 것은 아닐까.

                  묵자비염(墨子悲染)이란

                  인간도 물들이는 방법에 따라 변한다는 뜻으로                   비유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