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런 가치가 없다는 뜻의 고사성어 옥상가옥(屋上架屋)
동진의 유중초가 수도 남경의 아름다움을 묘사한 양도부를 지어 친척인 세도재상 유양에게 보이니 유양은 친척의 정을 생각해서 " 유중초의 양도부는 좌태충이 지은 삼도부와 조금도 손색이 없다고 평을 해 주었다. 그러자 사람들은 서로 다투어 유중초의 양도부를 베껴 가노라 장안의 종이 값이 오르는 형편이었다.
이와 같은 경박한 풍조에 대해 사안석이 " 그건 안 될 소리다.
不得爾 此是屋下架屋耳
이것은 지붕 밑에 지붕을 걸쳤을 뿐이다. 결국 남의 것을 모방해서 만든 문장이라는 뜻이다. 남북조 시대에 안지추가 자손을 위해 써둔 안씨 가훈에도 전한다.
魏晉巳來 所著諸子 理重事複 遲相摸斅 猶屋下架屋 牀上施牀爾
위진 이후에 씌어진 모든 책들은 이론과 내용이 중복이 되고 서로 남의 흉내만을 내고 있어 그야말로 지붕 밑에 지붕을 만들고 평상 위에 평상을 만드는 것과 같다.
세설신어 문학편과 안씨 가훈에서 나오는 고사성어가 옥상가옥(屋上架屋)이다.
옥상가옥(屋上架屋)이란 공연한 수고를 하거나 필요없는 일을 이중으로 하는 것을 가리켜 옥하가옥(屋下架屋)이라는 말을 쓰게 되었는데 뒤에 와서 지붕 밑보다는 위가 이해하기 좋았는지 옥상가옥(屋上架屋)을 사용하게 되었다. 마루 위에 마루를 다시 까는 것과 같다는 말로 아무런 가치가 없다는 뜻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