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

수학공식의 유래

박남량 narciso 2006. 10. 13. 08:44

 

수학공식의 유래


더하기의 유래

 

                            + 라는 기호가 생기기 전에는
                            et라는 문자로 덧셈을 표시했었다고 한다.
                            et는 라틴어로
                            ~과라는 뜻이 있다.
                            예를들어 3 et 2 는
                            3 과 2를 더한다는 뜻이 있다.
                            +
기호는 1541 년 어느날
                            네덜란드의 수학자 폰 델 호케는
                            자신이 연구한 수학을 정리하고 있었다.
                            호케의 연구에는
                            덧셈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런데 연구를 정리할때
                             et 라는 말을 많이 쓰다보니
                             et 가
+
처럼 되버렸다.
                             힘들여서 쓴걸 다시 고쳐 쓸 것이
                             암담했던 호케는 
                             +
를 et 를 대신하는 기호로 쓰게 되었다.



빼기의 유래



                             - 의 유래는
                             확실하게 전해져 내려오고 있지는 않다.
                             다만 중세 유럽의 상인이
                             저울 눈금의 차이를 표시하기 위해서
                             준비한 저울대가 힌트가 되었다고들 한다.



나누기의 유래



                              ÷ 는 17세기경
                              스위스의 라안이라는 수학자가
                              ÷ 기호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 는 원래 분수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한다.
                              분수는 약 1000년전에
                              미리 알려져 있었다고 한다.
                              처음에는 수와 수 사이에
                              횡선이 그어져 있지 않앗으나
                              언제부터 인지는 알 수 없으나
                              현재의 모양이 되었다.
                              분수는 분자를 분모로 나눈다는
                              나눗셈을 표현하고
                              이것이 그대로
                              기호로 모양을 바꾼것이 ÷이다.

                              10세기경부터 ÷ 라는 기호는
                              이미 사용되고 있었으나
                              그때에는 ÷ 란 기호 앞에
                              나눈다란 말이 있었다고 한다.
                              ÷ 는 전세계 공통어가 아니다.
                              ÷ 를 사용하는 나라는
                              우리나라 외에 미국, 영국, 일본정도이다.
                              다른나라에서는 나누기를
                              분수로 나타내고 있다.
                               ½ 은 1 ÷ 2라는 뜻이 된다.



곱하기의 유래



                               × 는 교회의 십자가에서
                               힌트를 얻은 것이라고 한다.
                               1631 년 영국의 수학자 윌리엄 오트레드는
                               방식을 나타내는 데에
                               일일이 문장으로 쓴다는 것은
                               보통 번거러운 일이 아니라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다른 것들(+,-)와 같은
                               기호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던 어느날 길을 걷다가 
                               교회의 십자가를
                               우연히 발견하여 고안하게 되었다.



=
의 유래



                               더하기나 나누기 등등의 문제 뒤에는
                               반드시 = 라는 기호가 붙는다.
                               이 기호가 없었을 때에는
                               5 + 2 는 7 과 같다라고 써야했다.
                               많은 사람들이
                               이것을 귀찮게 생각하게 되었다.
                               영국의 수학자 로버트 레코드는
                               이 생각을 하며 거리를 걷다가
                               목재에 걸려서 넘어졌다.
                               그런데 레코드는 이것을 보고 
                               평행선을 생각해 내었다.
                               즉 평행선의 폭만큼 같은 것은 없기 때문에
                               이것을 같다라는 기호로 사용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