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세상의 근본 원리를 확실히 지키라는 뜻의 고사성어 윤집궐중(允執厥中)

박남량 narciso 2016. 9. 28. 13:05


세상의 근본 원리를 확실히 지키라는 뜻의 고사성어 윤집궐중(允執厥中)



논어(論語) 마지막 부분 요임금(堯)임금 편에 윤집기중(允執其中)이란 말이 나온다. 중국 고대의 성군 요(堯)임금이 순(舜)임금에게 천하를 물려주며 하늘이 내린 차례가 당신에게 있으니 진실로 그 중심을 잡으라고 말한 대목이다.

"天之歷數  在爾躬  允執其中  四海困窮  天祿永終(천지력수 재이궁 윤집기중 사해곤궁 천록영종)
하늘의 운수가 너의 몸에 있으니 진실로 그 가운데를 잡으라. 동서남북 온 세상 백성들이 곤궁해지면 하늘이 주시는 임금의 봉록도 영원히 끊어질 것이다."

서경(書經)에서는 윤집기중(允執其中)과 같은 뜻의 윤집궐중(允執厥中)의 표현이 등장한다. 이 말은 순(舜)임금이 우(禹)왕에게 다시 천하를 물려주며 그 의미를 상세하게 정리한 것인데 이렇게 적고 있다. 16자결(16字訣)이라고 한다.

"人心惟危  道心惟徵  惟精惟一  允執厥中(인심유위 도심유징 유정유일 윤집궐중)
오직 위태롭고 참된 진리의 마음은 오직 희미하니 오로지 정성으로 한결같게 진실로 그 가운데를 잡아야 한다."

가운데를 의미하는 중(中)은 무엇일까? 중용(中庸)은 "희로애락이 드러나지 않는 것이 중(中)이고, 이미 드러났지만 절도에 맞는 것이 화(和)이다. 중(中)은 천하의 근본이고 화(和)는 천하에 통달한 도(道)"라고 한다.

주희(朱熹)는 중용(中庸)의 서문에서 "중정(中正)을 지키는 允執厥中(윤집궐중)이 주자학의 바탕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마음에 사(私)가 생기면 인심과 도심이 뒤섞이면서 천리의 공(公)이 인욕의 사(私)를 이기지 못하게 된다. 마음을 맑고 한결같이 하면 도심이 인심을 이끌게 되고 중용(中庸)의 도(道)가 실현된다"는 것이다. 윤집궐중(允執厥中)은 세상의 근본 원리를 확실히 지키라는 뜻으로 중용(中庸)의 도(道)를 추구해야 한다는 말이 된다.

논어(論語) 요왈(堯曰)편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윤집궐중(允執厥中)이다.

윤집궐중(允執厥中)이란 진실로 그 가운데를 잡으라는 뜻으로 단순한 진영논리와 특정 이념에 매몰되어 상대에 대해 배타적이고 편협성을 띄어 개방화된 세상에서 왜곡된 신념체계에 바탕한 자기주장만 내세우는 사람들에게 포용과 배려의 필요조건인 중용, 중도의 정신이 필요함을 깨우치게하는 말이다.<꽃사진: 사계국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