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

세상을 사는 태도가 달라지면 가뭄이 든 논에서 곡식이 영글 것입니다

박남량 narciso 2017. 10. 9. 16:29


세상을 사는 태도가 달라지면 가뭄이 든 논에서 곡식이 영글 것입니다



지난 경인년(庚寅年 1470)에 큰 가뭄이 들었습니다. 정월부터 비가 오지 않더니 칠월까지 계속되었습니다. 이 때문에 땅이 메말라서 봄에 쟁기질도 하지 못하였고 여름이 되어서도 짐맬 것이 없었습니다.

온 들판의 풍느 누렇게 말핬고 논밭의 작물들도 하나같이 모두 시들었습니다. 이때 부지런한 농부는 김을 매주어도 죽을 것이고 김을 매주지 않아도 죽을 것이라고 생각하며 이렇게 생각하였습니다.

"그러나 팔장 끼고 앉아서 죽어가는 것을 쳐다보고 있는 것보다 그래도 있는 힘을 다해 살릴려고 애를 쓰는 것이 나을 것이다. 그러다가 만에 하나라도 비가 오면 전혀 보람 없는 일이 되지는 않을 것이다."

그리하여 그는 쩍쩍 갈라진 논바닥에서 김매기를 멈추지 않고 다 마르고 시들어 빠진 곡식 싹들을 쉬지 않고 돌보았습니다. 그러나 게으른 농부는 이렇게 생각하였습니다.

"김을 매주어도 죽을 것이고 김을 매주지 않아도 역시 죽을 것이다. 그러니 부질없이 뛰어다니며 고생을 하기보다는 차라리 그냥 내 버려두고 편히 지내는 게 나을 것이다"

그리하여 게으른 농부는 일하는 농부들이나 들밥을 나가는 아낙들을 끊임없이 비웃어대며 그 해가 다 가도록 농사일을 팽개치고 하늘만 쳐다보았습니다. 마침내 가을걷이를 할 무렵이 되었습니다.

나는 파주 들녘에 나가 논밭을 살펴보았습니다. 한쪽은 잡초만 무성하고 드문드문 있는 곡식들은 모두가 쭉정이뿐이었습니다. 그런데 다른 한쪼은 농사가 제대로 되어 잘 익은 곡식들이 논밭 가득 고개를 숙이고 있었습니다. 그렇게 된 연유를 마을 노인에게 물었습니다.

농사를 망친 곳은 쓸데없는 짓이라며 농사일을 하지 않은 농부의 것이고 곡식이 영근 곳은 한 가닥 희망을 버리지 않고 끝까지 애를 쓴 농부의 것이라고 알려주었습니다.


조선 초기의 문신 허백당(虛白堂) 성현(成俔 1439-1504))의 시문집 허백당집(虛白堂集)에 실린 정농설(情農說)이라는 글입니다. 게으른 농부는 한때의 편안함을 찾다가 일년 내내 굶주리게 되었고 부지런한 농부는 한때의 고통을 참아내어 한 해를 배불리 지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부지런함은 항상 찬양을 받고 게으름은 비난을 받는 법입니다.

두 사람은 세상을 사는 태도가 다릅니다. 게으른 농부는 하늘에만 모든 것을 맡기고 사람의 도리는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부지런한 농부는 비록 조건이 열악할지라도 자기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였습니다.

끝까지 비가 안 올 가능성이 열에 아홉이고 조금이라도 비가 올 가능성이 열에 하나라고 하였을 때 게으른 농부는 열에 아홉만 생각하였고 부지런한 농부는 열에 하나를 본 것입니다. 이것이 농사일에만 국한되는 것일까요? 공부도, 가정생활도, 직장생활도, 경제도 특히 정치도 그렇지 않을까요. 세상의 모든 일이 다 그렇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꽃사진: 향달맞이꽃(낮달맞이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