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부차와 구천의 고사에서 나온 회계지치와 와신상담

박남량 narciso 2006. 12. 8. 10:16

 

부차와 구천의 고사에서 나온 회계지치와 와신상담


 

                        B.C. 496년 오나라의 왕 합려는 
                        월나라로 쳐들어 갔다가
                        월나라 왕 구천에게 패하여 전사하였다.
                        임종을 맞아 합려는 태자인 부차에게
                       「 너는 구천이 아버지를 죽였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일렀다.
                        그 아들 부차는 복수할 것을
                        잊지 않기 위해 땔나무 위에서 잠을 자고
                        방 앞에 사람을 세워 놓고서 출입할 때 마다


                       「 부차여, 월나라 군대가 너의 아버지를
                        죽인 것을 잊었는가」하고 외치게 하였다. 

                        부차의 이와 같은 소식을 들은
                        월왕 구천이 범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오나라를 먼저 쳐들어갔으나 패하고 말았다.

                        싸움에 크게 패한 구천은 얼마 남지 않은
                        군사를  이끌고 회계산으로 들어갔다.
                        부차는 이를 추격하여 포위했다.

                        진퇴가 궁해진 구천은 범려의 말에 따라
                        오나라 재상인 백비에게 뇌물을 보내어
                        모든 재물과 보배를 부차에게 바칠 것과
                        부차의 노비가 될 것을 약속하면서
                        화의를 청하였다. 부차는 화의를 받아들였다.

                        구천은 나라로 돌아오자 일부러 마음과 몸을

                        괴롭혀 쓸개를 좌석 옆에 놓고서는
                        앉을 때에나 누울 때에나 우러러 쓸개를 핥고
                        또 음식을 마주해도 쓸개를 핥아 
                        쓴맛을 맛보며 스스로 이렇게 말하였다.

                       「 너는 회계의 부끄러움을 잊었는가?」

                        패전의 치욕을 맛보는 것을 뜻하는 고사성어
                        회계지치(會稽之恥)가 여기에서 나왔다.

                        월나라 왕 구천이 오나라를 쳐서 이기고
                        오나라 왕 부차로 하여금 자살하게 한 것이
                        그로부터 20년 가까이 흐른 뒤의 일이다.

                        와신상담(臥薪嘗膽)이란 말은
                        오나라 왕 부차와 월나라 왕 구천의
                        고사에서 나온 것으로
                        원수를 갚기 위하여 쓰라림을 스스로
                        맛보는 것을 말한다. 
                        어떤 목적을 이루기 위해 괴로움을 참고
                        견딘다는 데에 비유하는 말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