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맹교의 등과후 와 고사성어 주마간산

박남량 narciso 2006. 11. 16. 10:15

 

                             맹교의 등과후 와 고사성어 주마간산 


                        登科後 


                        昔日齷齪不足諺
                        석일악착부족언

                        今朝放蕩思無涯
                        금조방탕사무애

                        春風得意馬蹄跌
                        춘풍득의마제질

                        一日看盡長安花
                        일일간진장안화


                             지난 날 궁색할 때는
                             자랑할 것이 없더니

                             오늘 아침에는 우쭐하여
                             생각에 거칠 것이 없어라.

                             봄바람에 뜻을 얻어 
                             세차게 말을 모니

                             하루 만에
                             장안의 꽃을 다 보았네.



                             중국 당나라 때
                             시인 맹교가 지은
                             등과후라는 시이다.

                             맹교는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시를 지으면서 청렴하게 살던 중
                             어머니의 뜻에 못 이겨
                             41 세의 늦은 나이에
                             과거에 응시하였다.
                             하지만 어머니의 바람과
                             자신의 뜻과는 달리 낙방하고 
                             온갖 수모와 냉대를 받다가
                             5 년 뒤인 46 살에야 겨우 급제하였다
.


                             등과후라는 시는 맹교가
                             보잘 것 없었을 때와 과거급제 후의
                             달라진 세상에 대하여 읊은 시이다.

                             여기에서 유래된 고사성어가
                             주마간산(走馬看山)이다.
                             말을 타고 달리면서
                             산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분주하고 어수선하여 무슨 일이든지
                             홱홱 지나쳐서 봄을 일컫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