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고픔을 견뎌야 무늬가 박힌다는 고사성어 남산현표(南山玄豹)
한(漢)나라 유향(劉向)의 열녀전(列女傳)에 남산 안개 속에 숨어 있는 표범 南山霧豹(남산무표) 이야기가 나온다. 도답자(陶答子)라는 사람이 있었다. 3년간 질그릇을 구워 팔았다. 명예는 없이 재산만 세 배나 불었다. 그의 아내가 돈벌이에만 혈안이 된 남편에게 여러 차례 그러지 말라고 간했지만 도답자(陶答子)는 들은 체도 않고 부의 축적에만 몰두했다.
5년이 지나 그가 엄청나게 치부해서 백 대의 수레를 이끌고 돌아왔다. 집안사람들이 소를 잡고 그의 금의환향을 축하했다. 도답자(陶答子)의 아내가 아이를 안고서 울었다. 시어머니는 이 기쁜 날 재수 없이 운다며 그녀를 크게 나무라니 그녀가 이렇게 말했다.
"남산의 검은 표범은 안개비가 7일간 내려도 먹이를 찾아 산을 내려오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 털을 기름지게 해서 무늬를 이루기 위해 숨어서 해를 멀리하려는 것입니다. 저 개나 돼지를 보십시오. 주는 대로 받아먹으며 제 몸을 살찌우지만 앉아서 잡아 먹히기를 기다릴 뿐입니다. 저는 어린 아들과 함께 떠나렵니다. "
시어머니가 화가 나서 그녀를 내쫓았다. 1년이 못 되어 도답자(陶答子)는 도둑질한 죄로 죽임을 당했다. 윤증(尹拯 1629-1714)이 게으른 선비에게 준 시(詩)에 이런 글이 있다. 공부는 외면한 채 바둑 같은 잡기로 세월을 낭비함을 나무라는 내용이다.
多少工夫靜裏宜(다소공부정이의)
南山霧豹可能知(남산무표가능지)
君家自有書千券(군가자유서천권)
何用床頭一局棊(하용상두일국기)
열심히 공부하려면 조용해야 하는 법 / 남산의 안개 속 표범 보면 알 수 있네 / 그대 집엔 천 권의 서적이 있건만 / 어이해 상머리서 바둑이나 두는 겐가
이 이야기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남산현표(南山玄豹)이다.
남산현표(南山玄豹)란 부스스 얼룩덜룩하던 털이 내면이 충실해지면서 어느 순간 빛나는 무늬로 바뀐다. 군자(君子)는 표범처럼 변한다는 것이다. 공부를 차곡차곡 축적해서 문득 반짝이는 지혜를 갖추게 된다. 배고픔을 견뎌야 무늬가 박힌다는 뜻이다.<꽃사진: 클레로덴드롬>
'고사 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사에 너무 명확하면 사람들이 모여들지 않는다는 고사성어 수청무어(水淸無漁) (0) | 2017.03.17 |
---|---|
극히 사치스러움을 일컫는 고사성어 일식만전(一食萬錢) (0) | 2017.03.15 |
절개 있는 선비가 초야에서 부르는 노래라는 고사성어 채미지가(採薇之歌) (0) | 2017.03.10 |
돌아가는 것이 곧장 가는 것보다 빠를 수 있다는 고사성어 우직지계(迂直之計) (0) | 2017.03.08 |
송장을 회초리로 쳐서 생전의 원한을 갚는다는 고사성어 가편사시(加鞭死屍) (0) | 2017.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