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산책

밤나무가 소나무가 될 수 없다는 박제상과 망부석

박남량 narciso 2006. 7. 12. 08:14

 

밤나무가 소나무가 될 수 없다는 박제상과 망부석



                          신라 눌지왕에게는
                          두 형제가 있었는데
                          한 형제 복호는 고구려에
                          또 한 형제 미사흔은 왜국에
                          볼모로 끌려가 있었다.
                          왕은 왜국과 고구려에 흩어져 있는
                          두 형제를 데려왔으면 하는
                          간절한 뜻을 박제상에게 말하니
                          박재상은 목숨을 걸고 그 일에
                          임하겠다고 하며 서라벌을 떠나
                          고구려에서 복호왕자를 구하고는
                          임금에게 아뢰기를
                          「왜놈들은 간사하고 잔꾀가 많아
                          계책이 아니고는 저들을 속일 수가 없습니다.
                          신이 왜국에 숨어들면 신이 나라를 배반한
                          역적이라고 소문을 내야 합니다.
                          그 다음 일은 신이 알아서 하겠습니다.」
                          하고는 가족에게는 말 한 마디 남기지 않고
                          왜국에 볼모로 있는 미사흔 왕자를
                          구하기 위해 서라벌을 출발했다.

                          뒤늦게 그의 아내가 마지막이 될지도
                          모르는 남편의 얼굴이라도 보고자
                          서둘러 해안으로 가보았으나
                          아물아물 멀어져가는 남편을 바라보며
                          애절하게 통곡을 하다가 발길을 돌렸다.
                          오는 길에 박제상의 아내가
                          망덕사라는 절 남쪽 모래밭에 이르러
                          털썩 주저앉아 길게 통곡을 하였다하여
                          모래밭을 긴 모래라 일컫게 되었으며
                          부인을 일으키려고 했으나 부인이 
                          다리를 뻗은 채 일어나지 않았다고 해서
                          그곳을 벌치마루라고 부르게 되었다.

                          무사히 왜국땅에 도착한 박제상은
                          왜왕을 찾아가 거짓으로 보호를 요청하니
                          왜왕은 첩자노릇을 하기 위해 왔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에서 처음에는 경계하였지만
                          신라조정에서 가족을 모조리 처형하였다는
                          소문이 바다를 건너오니 그때부터
                          박제상의 말을 곧이 듣고 그럴싸한 벼슬도
                          내리고 신라침공을 꿈꿔온 왜왕은 박제상을
                          앞세워 원정 떠날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왜왕의 신임이 끔찍하자 감시의 눈초리도
                          뜸해져 행동이 자유로와지자
                          갇혀 지내는 미사흔 왕자와 접촉을 했다.
                          다행으로 신라사람으로서 몇 해 전에
                          왜국에 잡혀온 강구려라는 자가 있어
                          그를 통하여 비밀쪽지를 전달하곤 했다.

                          어느 안개가 자욱하던 날 새벽
                          박제상은 강구려를 보내 미사흔 왕자를
                          해변으로 모셔오도록 하여
                          신라로 돌아가게 하였다.
                          미사흔 왕자가 왜 함께 가지 않느냐고
                          물으니 박제상은 제가 남아 있어야
                          놈들의 추격을 막을 수 있다고 하면서
                          미사흔 왕자만을 돌아가게 하였다.
                          그날도 왜왕을 중심으로 조회가 열렸다.
                          미사흔 왕자가 나타나지 않자
                          왜왕은 박제상에게 무슨 일이냐고 물었다.
                          박제상은 눈 하나 깜짝하지 않고 뱉었다.
                          「미사흔 왕자는 내가 신라로 보냈소.」
                          박제상을 믿었다가 체신사납게 된 왜왕은
                          박제상을 설득하기로 하였다.
                          「지난 일은 그렇게 되었다 치고
                          이제라도 마음을 돌리면 모든 것을
                          용서하고 높은 벼슬을 주겠다.」하니
                          「내가 개 돼지를 군주로 모셨으면 모셨지
                          어찌 왜국의 신하가 될 수 있겠느냐.」
                          박제상이 또렷또렷한 큰 목소리로 말했다.

                          입에 불에 달군 자갈을 물리고
                          발바닥 가죽을 벗겨 갈대밭을 걷게하는데
                          구경하는 사람조차 몸서리쳐지는 일이건만
                          박제상은 낯살하나 찌푸리지 않고 태연했다.
                          이미 죽을 각오가 되어 있는 그로서는
                          아픔이나 고통은 문제가 되지 않았다.
                          다만 명예롭게 죽고 싶을 따름이었다.
                          왜왕은 다시 박제상에게 물었다.
                          「너는 누구의 신하냐?」
                          「나는 서라벌의 신하다.
                          밤나무가 소나무로 될 수 없듯이
                          나의 한번 바친 의리롸 충성심은
                          그 누구도 바꾸지 못할 것이다.」
                          왜왕은 목도로 박제상을 귀양보냈다가
                          나중에는 장작불로 그를 새카맣게
                          그슬린 다음 목을 베어 죽였다.

                          눌지왕은 박제상에게 대아찬이란
                          높은 벼슬을 내리는 한편 그의 아내를
                          국대 부인에 책봉하고 미사흔 왕자로
                          하여금 박제상의 둘째딸 보화를 아내로
                          맞게 하여 조금이라도 은혜를 갚도록 했다.

                          박제상의 아내는 남편이 그리워
                          날마다 서라벌 남쪽에 있는 치술령에 올라
                          왜국 하늘을 바라보다가 돌이 되고 말았다.
                          남편을 애타게 기다리다가 돌이 되었다고
                          해서 사람들은 그것을 망부석이라고 불렀다.

 

 

 

 

'역사 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종과 세자빈 휘빈 김씨와 봉씨  (0) 2006.07.17
벼슬을 양보한 겸손 - 박순  (0) 2006.07.14
화약을 만든 최무선  (0) 2006.07.10
신라의 고승 원효  (0) 2006.07.07
고대의 무덤 고려장  (0) 2006.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