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말은 깊이 생각한 뒤에 해야 한다는 고사성어 기왕불구

박남량 narciso 2009. 6. 8. 11:43


말은 깊이 생각한 뒤에 해야 한다는
고사성어 기왕불구(旣往不咎)


                   노나라 애공이 공자의 제자 제아에게
                   천자나 제후가 나라를 지켜주는 수호신을
                   제사 지내는 사(社)에 대해서 물었다.
                   제단 주위에는 나무를 심게 되어 있었다.
                   제아는 임금의 물음에 대충 설명을 하고
                   이렇게 끝을 맺었다.
                   " 하후씨는 사에다 소나무를 심고
                   은나라 사람은 사에다 잣나무를 심었는데
                   주나라 사람은 사에다 밤나무를 심었습니다.
                   주나라 사람이 밤나무를 심은 까닭은
                   백성들로 하여금 전율하게 하려는 뜻에서였습니다."
                   밤나무란 율(栗)이 전율이라는 것으로 통용한
                   것인지는 알 수가 없다.
                   이 말을 전해들은 공자가 제아에게 꾸짖어 말했다.
                   " 이루어진 일이라 말하지 않고
                  되어 버린 일이라 간하지 않으며 이미 지나간 일이라
                  허물하지 않는다."
                  공자가 제아에게 한 이 말뜻은 꾸중하는 이상의
                  꾸중을 뜻하는 말이다.
                  돌이킬 수 없는 큰 과오를 범했다는 뜻과
                  그러기에 말이란 깊이 생각한 뒤에 해야 한다는
                  깊은 교훈의 뜻이 포함되어 있다.

                  논어에 나오는 공자의 말씀에서 유래된
                  고사성어가 기왕불구(旣往不咎)이다.

                  기왕불구(旣往不咎)란
                  이미 지나간 일은 어찌할 도리가 없고
                  오직 앞으로의 일이나 삼가야 함을 이르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