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남의 어려움을 보고 기쁨을 느낀다는 고사성어 행재락화

박남량 narciso 2009. 4. 30. 12:41


남의 어려움을 보고 기쁨을 느낀다는
고사성어 행재락화(幸災樂禍)


                 춘추시기 진(晋)나라에 내란이 일어나자
                 공자 이오는 진(秦)나라로 도망하였다.
                 이오는 귀국하기 전에 다섯 성을
                 진(秦)나라에 감사의 대가로 주기로 하였으나
                 이오가 돌아와 진(晋)의 군주 혜공이 되자
                 생각을 바꾸어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
                 후에 진(晋)나라에 가뭄이 들자
                 진(秦)나라 혜왕은 지난 날의 일로
                 마음이 내키지 않았지만 대부 백리해의 권유로
                 진(晋)나라에 양식을 보내 주었다.

                 이듬해 반대로 진(秦)나라가  기근이 들었다.
                 그래서 진(晋)나라에서 곡식을 사오려 했으나
                 진(晋) 혜공은 곡식을 팔지 않았다.
                 대부 경정은 진(晋) 혜공에게 이렇게 말했다.

                 도움을 준 사람들의 은혜를 잊는다면
                 이는 무친(無親)입니다.
                 또한 남의 어려움을 즐기는 것은 불인(不仁)이고
                 물건을 남에게 주지 않는 것은 불상(不祥)이며
                 이 일로 이웃 나라에게 죄를 짓는 것은
                 불의(不義)입니다.
                 그러나 진(晋) 혜공은 이를 틈타 진(秦)나라를
                 기습하였다가 포로가 되고 말았다.

                 여기에서 유래된 고사성어가
                 행재락화(幸災樂禍)이다.


                 행재락화(幸災樂禍)란

                 남의 어려움을 보고 기쁨을 느낀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