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길을 가는데 지름길로 가지 않는다는 고사성어 행불유경

박남량 narciso 2009. 7. 22. 13:42


길을 가는데 지름길로 가지 않는다는
고사성어 행불유경(行不由經)


                 자유가 무성 고을 장관이 되었을 때
                 공자는 무성으로 가서 자유를 보고
                 네가 훌륭한 일군을 얻었으냐 하고 물었다.
                 그러자 자유는
                 담대멸명이란 사람이 있는데
                 行不由經 非公事 未嘗至於偃之室也
                 다닐 때 지름길로 가지 않고 공사가 아니면
                 일찍이 제 방에 들어온 일이 없습니다.
                 하고 대답했다.

                 지름길로 가지 않는 그는 공적인 사무가 아니면
                 장관의 방에도 가지 않았다.
                 이것은 그가 얼마나 자기 맡은 일에
                 충실했는가를 말해 주고 있는 것이다.
                 공자는 담대멸명을 제자로 삼았다.
                 그는 공자 제자 가운데 얼굴이 가장 못생긴 사람이다.
                 얼굴을 보고 사람을 택할 수 없다는 것을
                 공자는 담대멸명을 예로 들어 말한 일이 있다.

                 논어의 옹야편에 있는 자유의 말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행불유경(行不由經)이다.

                 행불유경(行不由經)이란
                 길을 가는데 지름길로 가지 않는다는 말이다.
                 지름길은 거리로는 가깝지만
                 여러 가지 문제가 따를 수 있는 올바르지 못한 길이다.
                 우리가 무슨 일을 할 때도 정당한 방법을 쓰지 않고
                 우선 급한 대로 임시 편법을 쓰게 되면
                 항상 뒷말이 따르기 마련이다.
                 설사 그런 일이 없다 하더라도
                 그것은 정당한 일이 될 수 없다.
                 곡예사 같은 수완가를 박수갈채로 환영을 하는데
                 열 번 쾌감을 맛본다 해도
                 한 번 실수하면 그만 끝장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