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지레짐작으로 공연한 일에 겁을 내고 걱정한다는 고사성어 오우천월

박남량 narciso 2009. 7. 20. 08:40


지레짐작으로 공연한 일에 겁을 내고 걱정한다는
고사성어 오우천월(吳牛喘月)



               서진초 진나라 무제 사마염의 상서령으로
               만분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어느 날 만분이 진무제와 마주 앉게 되었을 때
               진무제가 앉은 뒷창문이 유리로 되어 있는 것을
               그는 휑하니 뚫려 있는 것으로 착각하고 있었다.
               유리 창문을 일찍이 본 일이 없는 그로서는
               당연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만분은 기질이 약해
               평소부터 바람을 무서워하고 있었다.
               바람을 조금이라도 쏘인 뒷면 반드시
               감기로 며칠을 앓아야만 했던 모양이다.
               북쪽 창이 휑하니 뚫린 것을 본 그는
               미리 겁을 먹고 난처한 표정을 지었다.

               진무제는 그가 바람을 싫어하는 것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바람이 통하지 않는 유리창이란
               것을 설명하고 크게 웃었다.
               그러자 만분은 황공한 듯이 말했다.

                臣猶吳牛  見月而喘

                오나라의 소가 달 보고 숨을 헐떡인다는 말은
                바로 신을 두고 한 말 같습니다.

                세설신어 언어편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유래된
                고사성어가 오우천월(吳牛喘月)이다.

                오우천월(吳牛喘月)이란
                오나라 소가 달을 보고 헐떡거린다는 말.
                즉 오나라와 같은 남쪽 더운 지방에 있는 소들은
                해만 뜨면 더위를 못이겨 숨을 헐떡거리게 된다.
                해가 뜨는 것이 지겹게만 여겨진 이 지방 소들은
                해가 아닌 달이 뜨는 것만 보아도 미리 숨이
                헐떡거려진다는 이야기이다.
                속담에 자라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보고 놀란다는
                것과 같은 뜻이다.
                지레짐작으로 공연한 일에 겁을 내고 걱정함을
                비유하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