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의멸친 (大義滅親)
춘추 시대인 주나라 환왕 원년 위나라에서는 공자 주후가 환공을 시해하고 스스로 군후의 자리에 올랐다. 환공과 주후는 이복 형제간으로서 둘 다 후궁의 소생이었다.
선군 장공 때부터 충의지사로 이름난 대부 석작은 일찍이 주후에게 역심이 있음을 알고 아들인 석후에게 주후와 절교하라고 했으나 듣지 않았다.
석작은 환공의 시대가 되자 은퇴했다. 그 후 얼마 안 되어 석작이 우려했던 주후의 반역이 현실로 나타난 것이다. 반역은 일단 성공했으나 백성과 귀족들로부터의 반응이 좋지 않자 주후가 석후에게 민심이 아직도 안정되지 않으니 어쩌면 좋을까하고 물었다. 석후가 말하길 신의 아비 작이 지난날 상경벼슬에 있었는데 백성들의 신임이 대단했으므로 백성을 쉽사리 복종시킬 것이므로 신의 아비를 불러 나라 정사를 맡기면 주공의 임금자리가 반드시 안정되리라 했다.
그래서 주후가 많은 보물을 보내면서 석작을 불러도 오지 않으므로 석후가 군명으로 아비를 만나게 되었다. 석후는 오랜만에 부친을 만나 임금께서 아버지를 공경하며 사모한다 하니 백발이 성성한 석작이 새 주공께서 나를 부른 뜻은 무엇이냐고 물었다.
좋은 계책과 지시를 받고자한다고 하자 석작은 이렇게 대답했다. 「 역시 천하의 종실인 주왕실을 예방하여 천자를 배알하고 승인을 받는 게 좋을 것이다.」 「 어떻게 하면 천자를 배알할 수 있을까요?」
「 먼저 주왕실과 각별한 사이인 진나라 진공을 통해서 청원하도록 해라. 그러면 진공께서 선처해 주실 것이다.」 이리하여 주후와 석후가 함께 진나라로 떠나자 석작은 진공에게 밀사를 보내어 이렇게 고하도록 일렀다.
「 바라옵건대 주군을 시해한 주후와 석후를 잡아 죽여 대의를 바로잡아 주시옵소서.」
진나라에서는 그들 두 사람을 잡아 가둔 다음 위나라에서 파견한 입회관이 지켜보는 가운데 처형했다고 한다.
사신이 시로써 이 일을 옮은 것이 있다.
公義私情不兩全 (공의사정불양전) 甘心殺子報君寃 (감심살자보군면) 世人溺愛偏多昧 (세인익애편다미) 安得芳名壽萬年 (안득방명수만년)
공의와 사정은 겸전할 수 없다. 주저치 않고 자식을 죽여 전 임금의 원수를 갚았다. 세상 사람들은 사정에 치우쳐 분별을 못하니 어찌 꽃다운 이름을 만세에 전하리오.
석작이 당초에 그 아들 석후를 죽이지 않았기 때문에 마침내 환공을 시해하는 일까지 생겼고 주후마저 죽음을 당했다는 뜻으로 농서거사가 시로서 �은 것도 있다.
明知造逆有根株 (명지조역유근주) 何不先將逆子除 (하불선장역자제) 自是老臣懷遠慮 (자시노신회원려) 故留子厚誤州牛 (고유자후오주우)
역적놈들의 근거를 잘 알고 있었다면 어찌 먼저 역적할 자식놈부터 없애버리지 않었더냐 늙은 신하는 앞날을 너무 염려한 나머지 자식 석후를 내 버려 두었다가 주후의 신세까지 망쳤도다
여기에서 나온 고사성어가 대의멸친 (大義滅親)이다. 석작을 평가하기를 석작은 두 마음이 없는 충신이다. 그는 주후와 그의 아들인 후를 미워하며 군신의 대의를 다하기 위하여는 육친의 사사로운 정을 버린다하였으니 바로 이것이 대의멸친이라 하였다. 대의멸친이란 국가의 대의를 위해서는 부모 형제도 돌아보지 않는다는 뜻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