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고사성어 굴묘편시 와 도행역시

박남량 narciso 2009. 5. 7. 12:14


고사성어 굴묘편시(掘墓鞭屍)와 도행역시(倒行逆施)

                 간신의 농간으로 역적으로 몰아
                 오자서의 아버지와 형을 죽인 초나라 평왕이
                 죽은 뒤 오자서에 의해 그의 무덤이 파헤쳐지고
                 그의 시체가 채찍을 받게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오자서의 아버지 오사는 평왕의 태자 건의 태부로
                 충신이었는데 소부였던 비무기의 음모에 의해
                 억울한 죽임을 당하는데 소부인 비무기는 다시
                 오사의 두 아들을 죽일 음모를 꾸미는데
                 형인 오상은 음모에 의해 아버지를 따라 죽었다.
                 그러나 오자서는 음모를 재빨리 알아차려
                 천신만고 끝에 오나라에 망명의 길을 떠나게 된다.

                 오자서는 오나라에서 마침내 뜻을 이루어
                 군사를 거느리고 초나라로 쳐들어간다.
                 그때는 이미 평왕이 죽어 평왕의 무덤을 찾았다.
                 그러나 평왕은 오자서의 복수가 두려워
                 무덤을 깊은 못 속에 만들고 무덤을 만든
                 석공 오백명을 모두 물 속에 넣어 죽게 만들었다.
                 수십리에 걸친 못에는 물만 출렁거릴 뿐
                 무덤을 찾을 길이 없어 오자서는 둑만 오르내렸다.

                 어느 날 저녁 백발이 성성한 노인이 찾아와서는
                 오백명의 석공 중 살아남은 한 명이라며
                 오자서의 복수도 복수이지만
                 죽은 내 동지 석공의 원수를 갚으려 한다며
                 무덤의 위치를 알려주었다.
                 물 속의 무덤을 하나 하나 뜯어내어
                 몇 바닥 몇 길 밑에 있는 무덤을 찾아내었으나
                 평왕의 시체는 없었다.
                 그 무덤은 사람의 눈을 속이기 위한 것이었다.
                 다시 한 길을 내려가니 그곳에 수은으로 채워진
                 평왕의 널이 있었다.
                 오자서는 복수심이 폭발하여 평왕의 목을 누르고
                 그의 배를 누른 다음 충신과 간신을 구분 못하는
                 눈이라며 눈을 뽑아 버리고
                 시체를 삼백대를 쳐 뼈와 살이 떡이 되었다.

                 오자서의 전기에서 나오는 고사성어가
                 굴묘편시(掘墓鞭屍)이다.


                 굴묘편시(掘墓鞭屍)란

                 통쾌한 복수의 뜻으로도 쓰이지만
                 좀 지나친 행동의 경우를 말할 때도 쓰인다.

                 오자서의 둘도 없는 친구였던 신포서는
                 오자서의 소식을 듣자 사람을 보내
                 오자서에게 그대의 그런 복수 방법은
                 너무 지나치지 않았을까 하고 일렀다.
                 그 말에 오자서도 할 말이 없었던지
                 나는 날이 저물고 길이 멀어서
                 그렇기 때문에 거꾸로 걸으며 거꾸로 일을 했다.
                 라고 전해 보냈다.

                 여기에서 유래된 고사성어가
                 도행역시(倒行逆施)이다.


                 도행역시(倒行逆施)란

                 이치에 벗어난 짓을 하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