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찮은 것으로 귀한 것의 가치를 빛낸다는 고사성어 공옥이석(功玉以石) 하찮은 것으로 귀한 것의 가치를 빛낸다는 고사성어 공옥이석(功玉以石) 왕부(王符)의 잠부론(潛夫論)은 왕충(王充)의 논형(論衡), 중장통(仲長統)의 창언(昌言)과 함께 동한(東漢)시대의 3대 고전으로 꼽힌다. 특히 잠부론(潛夫論)은 개인 정치평론 철학서로 가장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 고사 성어 2019.05.23
굳게 참고 견디어 마음을 빼앗기지 아니하다는 고사성어 견인불발(堅忍不拔) 굳게 참고 견디어 마음을 빼앗기지 아니하다는 고사성어 견인불발(堅忍不拔) 古之立大事者(고지입대사자) 不惟有超世之才(불유유초세지재) 亦必有堅忍不拔之志(역필유견인불발지지) 옛적에 큰 일을 이룬 사람은 특출한 재능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굳은 의지를 또한 지니고 있다는 말이.. 고사 성어 2019.04.25
백성과 더불어 즐거움을 함께 한다는 고사성어 여민동락(與民同樂) 백성과 더불어 즐거움을 함께 한다는 고사성어 여민동락(與民同樂) 맹자(孟子)는 인의(仁義)와 덕(德)으로 다스리는 왕도정치(王道政治)를 주창하였다. 그 바탕에는 백성을 정치적 행위의 주체로 보는 민본사상(民本思想)이 깔려 있다고 본다. 맹자(孟子 BC372-BC289)는 왕이 음악을 좋아한다.. 고사 성어 2019.03.15
작은 티끌들이 모여 태산이 된다는 고사성어 적토성산(積土成山) 작은 티끌들이 모여 태산이 된다는 고사성어 적토성산(積土成山) 積土成山(적토성산) 風雨興焉(풍우흥언) 積水成淵(적수성연) 蛟龍生焉(교룡생언) 積善成德(적선성덕) 而神明自得(이신명자득) 聖心備焉(성심비언) 故不積蹞步(고부적규보) 無以致千里(무이지천리) 不積小流(부적소류) 無.. 고사 성어 2019.02.18
들꽃은 자신을 위해 꽃을 피울 뿐 사람들을 위해 꽃을 피우지 않습니다 들꽃은 자신을 위해 꽃을 피울 뿐 사람들을 위해 꽃을 피우지 않습니다 그대는 인생을 사랑하는가? 그렇다면 시간을 낭비하지 말라. 왜냐하면 시간은 인생을 구성한 재료이기 때문입니다. 똑같이 출발하였는데 세월이 지난 뒤에 보면 어떤 사람은 뛰어나고 어떤 사람은 낙오자가 되어 있.. 삶의 묵상 2017.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