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미술관 옛그림 - 신윤복의 <소년전홍(少年剪紅)> 우리 미술관 옛그림 신윤복(申潤福 1758- ? ) <소년전홍(少年剪紅)> 혜원(惠園) 신윤복(申潤福 1758- ? )의 소년전홍(少年剪紅)은 소년이 붉은 꽃을 잘라 버린다 즉 꺾다는 뜻의 제목입니다. 그림 속에는 장죽을 문 앳띤 양반 자제가 젊은 여인의 손을 잡고 있고 그 배경에 큰 괴석(怪石) 하.. 역사 산책 2017.01.30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신윤복의 <이승영기(尼僧迎妓)> 우리 미술관 옛그림 신윤복(申潤福 1758- ? ) <이승영기(尼僧迎妓)> 혜원(惠園) 신윤복(申潤福 1758- ? )의 이승영기(尼僧迎妓)는 말 그대로 비구니가 기녀를 맞이하는 그림입니다. 버드나무 가지에 새 잎이 돋는 봄날 장옷(長衣)을 입은 여인과 보퉁이를 든 여인이 절에 찾아가는 모습에 .. 역사 산책 2017.01.25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신윤복의 <임하투호(林下投壺)> 우리 미술관 옛그림 신윤복(申潤福 1758- ? ) <임하투호(林下投壺)> 혜원(惠園) 신윤복(申潤福 1758- ? )의 임하투호(林下投壺)는 아름다운 우리나라 무형유산인 민속 전통놀이인 투호(投壺)놀이를 그린 그림입니다. 투호(投壺)놀이는 서울의 양반가정이나 궁중에서 하던 놀이입니다. 명절.. 역사 산책 2017.01.09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신윤복의 <무녀신무(巫女神舞)> 우리 미술관 옛그림 신윤복(申潤福 1758- ? ) <무녀신무(巫女神舞)> 혜원(惠園) 신윤복(申潤福 1758- ? )의 무녀신무(巫女神舞)는 무당(巫堂)이 민가에서 굿하는 장면을 그린 무속(巫俗) 그림입니다. 무녀복(巫女服)으로 갖추어 입고, 갓을 쓰고 큰 부채를 손에 든 무당(巫堂)이나 무당(巫堂).. 역사 산책 2017.01.06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신윤복의 <노상탁발(路上托鉢)> 우리 미술관 옛그림 신윤복(申潤福 1758- ? ) <노상탁발(路上托鉢)> 혜원(惠園) 신윤복(申潤福 1758- ? ) 노상탁발(路上托鉢)은 말 그대로 승려들이 마을을 돌아다니며 시주받는 것을 말합니다. 그림에 보이는 큰 북은 법고(法鼓)라고 합니다. 불교에서는 아침,저녁 예불 때 사용하는 네 가.. 역사 산책 2016.12.30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신윤복의 <노중상봉(路中相逢)> 우리 미술관 옛그림 신윤복(申潤福 1758- ? ) <노중상봉(路中相逢)> 혜원(惠園) 신윤복(申潤福 1758- ? ) <노중상봉(路中相逢)>은 길거리에서 만난 두 쌍의 부부의 모습이 그려진 그림으로 혜원풍속도첩(蕙園風俗圖帖)이라고도 불리는 신윤복필(申潤福筆) 풍속도(風俗圖) 화첩(畵帖) 중.. 역사 산책 2016.12.28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신윤복의 <서생과 아가씨> 우리 미술관 옛그림 신윤복(申潤福 1758- ?) <서생과 아가씨> 신윤복(申潤福 1758- ?)의 풍속화 <서생과 아가씨>는 아리따운 아가씨가 서생을 찾아와 말을 붙이지 못하고 기둥에 기대어 서 있는 그림입니다. 서생은 단정히 앉아 글을 읽는 모습입니다. 서생의 모습을 아가씨가 밖에서 .. 역사 산책 2016.10.26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신윤복의 <거문고 줄 고르기> 우리 미술관 옛그림 신윤복(申潤福 1758- ?) <거문고 줄 고르기> 신윤복(申潤福 1758- ?)의 풍속화는 주변 배경을 설정하여 분위기와 인물의 심리 묘사에 중점을 두었으며 부드러운 필치와 감각적인 채색을 사용하여 조선 후기 활기찬 생활의 단면을 표현하였는데 이 그림은 기녀와 여인.. 역사 산책 2016.10.14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신윤복의 <추천도> 우리 미술관 옛그림 신윤복(申潤福 1758- ?) <추천도> 추천도란 그네 타기란 뜻입니다. 여인 셋이 등장하여 한가로운 여가 시간을 보내고 있는 장면입니다. 나이가 좀 들어 보이는 여인이 옆에서 그네를 타고 있는 다른 여인을 바라 보며 편히 앉아 담배를 피우고 있습니다. 그네 타는 .. 역사 산책 2016.10.10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신윤복의 <기다림> 우리 미술관 옛그림 신윤복(申潤福 1758- ?) <기다림> 버드나무 아래 누군가를 기다리는 한 여인. 조용한 대가(大家)의 뒷뜰에서 누군가를 기다리는 여인의 초조함과 안타까움이 느껴지는 그림입니다. 여인의 기다림이 감성적으로 잘 표현된 그림입니다. 여인은 주름이 잡힌 풍성한 치.. 역사 산책 2016.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