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재주가 출중한 것을 일컫는 고사성어 여연지필(如椽之筆) 글재주가 출중한 것을 일컫는 고사성어 여연지필(如椽之筆) 왕순(王珣)은 왕흡(王洽)의 아들이며 왕도(王導)의 손자로, 3대가 서예가로 유명하다. 왕순은 20세 때 대사마(大司馬) 환온(桓溫)의 주부(主簿)가 되었다. 환온(桓溫)은 당시 서하(西夏)를 공격하느라 여념이 없어 군중의 기무를 .. 고사 성어 2018.02.20
앞의 실수를 경계로 삼아야 한다는 고사성어 전복후계(前覆後戒) 앞의 실수를 경계로 삼아야 한다는 고사성어 전복후계(前覆後戒) 전한(前漢) 5대 황제인 문제(文帝 BC202-BC157) 때 가의(賈誼 BC210-BC168)라는 명신(名臣)이 있었다. 그는 나이 18세에 글을 짓는 데 능숙하다는 소문이 자자하였다. 후에 20세에 박사가 되니 이는 최연소의 나이였다. 그는 관직에 .. 고사 성어 2017.05.22
곧은 나무는 쓸모가 많아 먼저 베인다는 고사성어 직목선벌(直木先伐) 곧은 나무는 쓸모가 많아 먼저 베인다는 고사성어 직목선벌(直木先伐) 중국의 장자(莊子 BC370-BC287)는 남의 눈에 띄지 않는 생활방식이 가장 좋다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나무는 곧은 목재로 적합하다. 그래서 直木先伐(직목선벌) 나무를 벨 때는 곧은 것부터 베어낸다. 甘井先竭(감정선.. 고사 성어 2017.04.17
한마디의 말이라도 때에 맞는 옳은 말은 기쁨을 줍니다 한마디의 말이라도 때에 맞는 옳은 말은 기쁨을 줍니다 조나라의 문왕이 칼싸움을 좋아하여 검객 삼천 명을 모았습니다. 매일 검술만 구경하니 국력이 약해져 태자와 신하들이 의논한 결과 장자(莊子)에게 왕을 설득하도록 부탁하였습니다. 왕은 검객만 만나므로 장자도 검객과 같이 꾸.. 삶의 지혜 2016.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