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자식이 부모의 은덕에 보답하기 어렵다는 고사성어 촌초춘휘

박남량 narciso 2010. 2. 8. 14:11


자식이 부모의 은덕에 보답하기 어렵다는
고사성어 촌초춘휘(寸草春暉)



                당나라 시인 맹교(孟郊. 서기 751년~814년)는
                46세에 뒤늦게 진사에 급제한 뒤
                큰 벼슬에 오르지 못했다.
                힘든 인생살이를 반영하듯 그의 시는
                가난한 백성들에 대한 동정심이 한껏 배어 있다.

                                            游子吟

                              慈母手中線
                              游子身上衣
                              臨行密密縫
                              意恐遲遲歸
                              誰言寸草心
                              報得三春暉

                인자하신 어머님 손에는 실
                떠도는 이 몸의 옷을
                떠날 때 촘촘히 꿰매어 주시고
                돌아옴이 늦을까 걱정하셨네
                누가 말했는가 한 치 풀의 마음으로써
                어찌 봄날 같은 부모의 마음을 알리

                맹교의 대표작 <유자음>에서
                자애로운 어머니가 타향에 외출하는
                아들의 옷을 정성껏 짓는 모습을 통해
                자식에 대한 어머니의
                뜨거운 마음을 노래하고 있다

                시인은 誰言寸草心 報得三春暉이란 글귀에서
                아들의 심정을 한 포기 풀
                어머니 마음을 봄날의 햇볕에 비유했다.

               자그마한 풀포기 하나 그를 길러준
               봄날의 햇볕에 어떻게 보답할 수 있을까
               라는 뜻으로 한 치 풀의 마음으로써
               어찌 봄날 같은 부모의 마음을 알리라는 뜻이다.

               여기에서 나온 고사성어가
               촌초춘휘(寸草春暉)이다.

               촌초춘휘(寸草春暉)란
               즉 한 포기 풀과 봄날의 햇볕이라
               자그마한 한 포기 풀이
               봄볕의 은혜에 보답하기 힘들다는 뜻으로
               자식이 부모의 은덕에 보답하기 어렵다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