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청렴결백한 관리를 비유하는 고사성어 청풍양수

박남량 narciso 2010. 2. 11. 17:57


청렴결백한 관리를 비유하는
고사성어 청풍양수(淸風兩袖)



                명나라 때 우겸(于謙·1398~1457)은
                청렴결백한 관리로 글재주가 뛰어난 시인이었다.
                그는 명나라 선종, 영종, 대종 여러 황제 밑에서
                높은 벼슬에 있었으나 늘 검소한 생활을 했다.

                우겸이 병부시랑으로 있을 때였다.
                한번은 황제의 명을 받아 하남 일대를
                돌아다니며 백성들의 형편을 살펴본 뒤
                귀경을 하면서 빈손이니
                누군가 금은보화는 그만두고서라도
                지방의 특산물이라도 가지고 가야 한다고 하니
                우겸은 말을 듣지 않고
                淸風兩袖朝天去
                免得閭閻話短長
                두 소매에 맑은 바람만 넣고 천자를 알현 가서
                백성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일은 면하리라 라는
                시 한 수를 지으며 듣지 않았다.

                중국이나 우리나라의 옛의복은
                소매가 넓어 재물을 넣는 주머니 역할도 하였다.
                소매에 맑은 바람만 넣는다는 말은
                아무 재물도 지니지 않는다는 뜻이 된다.

                우겸의 석회음(石灰吟)이란 시이다.

                千錘萬鑿出深山   
                烈火焚燒若等閑   
                
粉身碎骨渾不   
                要留淸白在人間 

               천번 두드리고 만 번 뚫어 깊은 산 속에서 나와
               뜨거운 불에 태워도 아무 일 없었다는 듯
               뼈와 살이 뭉개져도 전혀 두려워하지 않으니
               인간 세상에 청백하게 남을 수만 있다면

               우겸은 시에서 보여준 자신의 뜻대로
               깨끗함과 공정함으로 일관했으나
               후에 모함에 빠져 결국 대종 때
               병부상서로 있던 중 태상황이던 영종이
               다시 황제에 오르면서 일으킨 정변 때
               죽음을 맞았지만 인정과 불의에 타협하지 않는
               기개로 중국 역사에서 흔치 않은
               청백의 관리로 이름을 남기고 있다.

               여기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청풍양수(淸風兩袖)이다.

               청풍양수(淸風兩袖)란
               시원한 바람이 두 소매 안에 있다는 뜻으로
               관리나 선비들이 청렴결백함을 일컫는 말이다.
               참고로 청렴결백한 관리를
               청백리(淸白吏)라고 하며
               줄여 청리(淸吏)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