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산책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신사임당(申師任堂)의 <오이와 개구리>

박남량 narciso 2017. 8. 11. 12:53


우리 미술관 옛그림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1551)  <오이와 개구리>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시인이었던 사임당(師任堂) 신씨(申氏)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1551)은 시(詩), 서(書), 화(畵)에 두루 능했던 여류화가입니다. 그녀는 15세기 전반에 활동한 작가로 그의 작품으로 전해지는 것은 대부분 초충도(草蟲圖)이고 산수도(山水圖)도 있습니다. 신사임당(申師任堂)의 초충도(草蟲圖)는 단순히 자연을 보고 그린 그림이 아닙니다. 그림 안에 많은 뜻이 숨어 있습니다.

<오이와 개구리>에 오이와 조가 어지러운 듯 그려져 있습니다. 가운데 가지에 비해 큰 오이가 수직으로 내려 그려져 있습니다. 하늘에는 벌 한 마리가 오이로 날아오고 있고 땅에는 땅강아지를 개구리가 쫓아 가고 있습니다. 오이는 자손이 끊이지 않고 번창하기를 바라는 소망이 담긴 상징입니다. 오이넝쿨은 자손이 끊어지지 말고 이어지라는 뜻입니다.

땅강아지는 한자로 누고(螻蛄)입니다. 땅강아지는 날고 타고 오르고 건너가고 땅을 파고 달려가는 다섯 가지의 재주가 있습니다. 그런데 어느 것 하나 제대로 하는 것이 없습니다. 그래서 이 말은 재능은 많지만 아직 미숙한 상태를 비유하는 말입니다.


개구리는 알에서 올챙이로 변신했다가 꼬리가 작아지면서 개구리로 변신합니다. 이렇게 변신한다는 특징을 상서롭게 여겼기 때문에 옛사람들은 개구리를 왕과 같이 존귀한 인물의 탄생담을 만드는데 활용했습니다. 또한 '개구리가 집에 들어오면 복이 들어온다.'는 민간의 속신은 우리 민족이 개구리를 재복신으로 여겼다는 것입니다.

부여의 금와왕(金蛙王)은 금빛 개구리의 모습이었다고 전해집니다. 왕권의 후계자를 금빛 개구리로 상징화한 것은 금빛의 신성함과 개구리의 다산(多産)이라는 특성의 결합을 통해 왕권의 신성함과 왕족의 흥성을 기원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선덕여왕 때 개구리떼의 울음소리를 듣고 잠복해 있던 적군을 몰살시켰다는 개구리를 예언적 능력을 지닌 신령스런 동물로 여긴 여근곡(女根谷)설화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