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산책

우리 미술관 옛그림 - 김홍도의 <표피도(豹皮圖)>

박남량 narciso 2017. 1. 18. 12:15


우리 미술관 옛그림

김홍도(金弘道 1745-1806 )  <표피도(豹皮圖)>



김홍도(金弘道 1745-1806 )의 표피도(豹皮圖)는 살아 있는 표범이나 호랑이를 그릴 수도 있는데 표범의 가죽을 그린 아주 독특한 그림입니다. 살아 있는 표범을 그릴 수도 있었을 것인데 왜 표범의 껍질을 그렸을까요? 이 작품은 평양의 조선미술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표피도(豹皮圖)는 수만 번의 붓질을 해서 표범 껍질에 있는 무늬를 다 그렸습니다. 사이 사이에 잔털을 일일이 다 그렸습니다. 이러한 고생을 하면서 살아 있는 표범이 아니고 왜 하필 죽어 있는 표범의 껍질을 그렸을까. 껍질을 그려 놓았지만 표범의 무늬가 더 선명하게 보입니다. 이것이 답이 아닐까요.


주역(周易)에 의하면 가죽 즉 혁(革)이라는 괘(卦)를 설명하는데 '대인호변(大人虎變)', '군자표변(君子豹變)', 소인혁면(小人革面)'이라고 했습니다. 대인(大人)은 자기가 바뀌는 게 어떻게 바뀌느냐 하면 가을철에 호랑이가 털갈이하듯이 바뀐다는 것입니다. 군자(君子)는 어떻게 바뀌느냐 표범이 털갈이 하듯이 바뀐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소인(小人)은 혁면(革面)이라 낯짝만 바꾼다고 했습니다. 여기서 표변(豹變)이라는 말이 나옵니다. 이그림은 군자(君子)는 표범이 털갈이 하듯이 변해야(豹變) 한다는 좋은 의미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자기 개혁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한(漢)나라 유향(劉向)의 열녀전(列女傳)에 남산 안개 속에 숨어 있는 표범 南山霧豹(남산무표)
이야기가 나옵니다.
도답자(陶答子)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3년간 질그릇을 구워 팔았습니다. 명예는 없이 재산만 세 배나 불었습니다. 그의 아내가 돈벌이에만 혈안이 된 남편에게 여러 차례 그러지 말라고 간했습니다.

도답자(陶答子)는 들은 체도 않고 부의 축적에만 몰두했습니다. 5년이 지나 그가 엄청나게 치부해서 백 대의 수레를 이끌고 돌아왔습니다. 집안사람들이 소를 잡고 그의 금의환향을 축하했습니다. 도답자(陶答子)의 아내가 아이를 안고서 울었습니다. 시어머니는 이 기쁜 날 재수 없이 운다며 그녀를 크게 나무랐습니다.

그녀가 대답했습니다. 
"남산의 검은 표범은 안개비가 7일간 내려도 먹이를 찾아 산을 내려오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 털을 기름지게 해서 무늬를 이루기 위해 숨어서 해를 멀리하려는 것입니다. 저 개나 돼지를 보십시오. 주는 대로 받아먹으며 제 몸을 살찌우지만 앉아서 잡아 먹히기를 기다릴 뿐입니다. 저능 어린 아들과 함께 떠나렵니다. "
시어머니가 화가 나서 그녀를 내쫓았습니다. 1년이 못되어 도답자(陶答子)는 도둑질한 죄로 죽임을 당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