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못의 물을 다 퍼낸 후에 물고기를 잡다라는 고사성어 갈택이어(竭澤而漁)
진(晉)나라 문공(文公)이 초(楚)나라와 싸우려 할 때 진(晉)나라의 재상인 구범(咎犯)을 불러 물어보았다.
『초나라는 병사의 수가 많고 우리는 적으니 어떻게 하면 좋겠는가?』
구범(咎犯)이 대답하였다.
『저는 '예의를 중시하는 임금께서는 번거로운 형식을 마다하지 않고, 전쟁을 자주 하는 임금께서는 속임수를 마다하지 않는다'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왕께서도 전쟁에서 이기시려면 적군을 속이는 방법밖에는 없습니다.
』
문공(文公)은 구범(咎犯)의 말을 듣고 옹계에게도 물었다. 옹계가 답하였다.
『竭澤而漁 豈不獲得 而明年無魚
연못의 물을 다 퍼낸 다음에 물고기를 잡으면 어찌 못 잡겠습니까? 하지만 이듬해에는 연못에 잡을 물고기가 하나도 없을 것입니다.
焚藪而田 豈不獲得 而明年無獸
숲을 다 태운 다음에 짐승을 사냥한다면 어찌 못 잡겠습니까? 하지만 이듬해에는 숲에 사냥할
짐승이 하나도 없을 것입니다.
詐僞之道 雖今偸可 後將無復 非長術也
이렇게 속이는 계책은 비록 지금 당장은 통해도 나중에는 다시 속일 수 없을 것이니 장기적인 계책은 아닐 것입니다.』
문공(文公)은 구범(咎犯)의 모책에 따라 초(楚)나라와 싸워 승리를 했다. 그러나 전쟁이 끝나고 논공행상을 하는데 옹계의 벼슬을 앞세우고 구범을 뒤로 하였다. 여러 신하들이 궁금히 여기니 문공(文公)이 말하였다.
『구범은 한 때의 권도를 말하는 것이고, 옹계는 만세의 이익을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공자(孔子)가 이 말을 전해 듣고 문공(文公)이 이미 한 때의 임기응변을 알고 또 만세의 이익을 알았으니 문공(文公)이 패자가 됨은 당연한 일이라고 하였다.
여씨춘추(呂氏春秋)의 의상(義賞)편에서 유래된 고사성어가 갈택이어(竭澤而漁)이다.
갈택이어(竭澤而漁)란 연못의 물을 다 퍼낸 후에 물고기를 잡다라는 뜻으로 눈앞의 이익만 생각하고 멀리 내다보지 않고 행동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고사 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신이 있으면 주변에 사람이 모이지 않는다는 고사성어 구맹주산(狗猛酒酸) (0) | 2015.12.21 |
---|---|
교만한 군대는 반드시 패한다는 고사성어 교병필패(驕兵必敗) (0) | 2015.12.18 |
느린 말과 빠른 행동이라는 고사성어 눌언민행(訥言敏行) (0) | 2015.12.09 |
만족할 줄 알아야 모욕을 당하지 않는다는 고사성어 지족불욕(知足不辱) (0) | 2015.12.03 |
아주 깊은 밤중에 황금을 품다라는 고사성어 모야회금(暮夜懷金) (0) | 2015.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