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여몽의 이야기에 나오는 수불석권과 괄목상대

박남량 narciso 2007. 1. 2. 13:41

 

         여몽의 이야기에 나오는 수불석권과 괄목상대

 

 

                        옛날 중국에서 후한이 망한 후
                        위, 오, 촉 삼국시대 때
                        오나라에 유명한 장수가 있었는데
                        이름이 여몽이었다.
                        그는 어려서 매우 가난하여
                        제대로 먹고 입지를 못하였으며
                        형제가 없어 무척 외롭게 자라났다.
                        그러나 그는 글 읽을 형편이 못되어
                        무식하지만 가슴에 큰 뜻을 지녀
                        무공을 쌓아 뒤에 훌륭한 업적을 남겼다.
                        여몽은 전쟁에서 세운 공로로
                        장군은 되었으나 학식이 부족하여
                        손권이 여몽에게 공부하기를 권하였다.
 

                        독서할 겨를이 없다는 여몽에게
                        손권은 자신이 젊었을 때
                        글을 읽었던 경험을 말하며
                        지금도 역사와 병법에 관한 책을
                        계속 읽고 있다고 하면서
                        후한의 황제 광무제는
                        변방 일로 바쁜 가운데서도 
                        책을 놓지 않았으며
                        위나라의 조조는 늙어서도
                        배우기를 좋아하였다. 라는 
                        이야기를 들려 주었다.
                        그 말을 들은 다음부터 여몽은 
                        마음과 힘을 돋구어 글을 읽어
                        책 속에서 많은 지식을 얻었고
                        많은 사물의 이치를 깨달았다.
                        하루는 노숙이 여몽을 찾아가
                        국정을 논의하는 자리에서
                        이론이 고매하고 식견이 밝음을
                        발견하고 무한히 놀랐다.

                        노숙이 여몽에게
                        언제 그만큼 공부를 했는지
                        찬사를 보내며 묻자
                        여몽이 미소를 지으면서 대답했다. 
                       「 사람이 사흘간 헤어졌다 만나면 
                        마땅히 괄목상간(
刮目相看)

                        해야 하는 법입니다」

                        여기에서 나온 고사성어가

                        손에서 책을 놓지 않고
                        항상 글을 읽는다는
                        수불석권(手不釋卷)이며

                        남의 학문이나 재주가 현저하게
                        진보하였음을 가리키는
                        눈을 비비고 자세히 본다는
                        괄목상대(刮目相對)이
다.
                        괄목상대는 괄목상간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