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앞의 실수를 거울로 삼는다는 고사성어 전차가감

박남량 narciso 2010. 5. 14. 12:09


앞의 실수를 거울로 삼는다는
고사성어 전차가감(前車可鑑)


                 전국시대 위나라의 문후가 어느날 공승이라는
                 말단 관직에 있는 불인이란 자를 시켜 술자리를
                 마련하여 여러 대신들을 불러 연회를 베풀었다.
                 이 자리에서 문후가
                 그냥 술이나 마시고 있어서는 흥미가 없으니
                 어디 내기라도 걸어서 지는 사람은 벌주로
                 큰잔 하나씩을 마시게 하는 것이 어떨까 하고
                 제안을 하였다. 대신들도 모두 찬성을 했다.
                 그런데 맨 처음 걸린 사람이 문후가 되었다.
                 대신들은 차마 용기가 없어서 어물어물 하고 있는데
                 말단 관직인 불인이 서슴치 않고 문후의 앞으로 나와
                 약속은 지키셔야 합니다. 이 술잔을 받으십시오.라며
                 큰 대접을 들어 거침없이 문후에게 내어 밀었다.
                 문후는 힐끗 곁눈질해 보았을 뿐
                 시침을 떼고 고개를 돌려 버렸다.
                 그러나 불인은 부득부득 큰 사발을 안기려 들었다.
                 주위의 대신들은 어찌할 바를 모르는 양
                 얼굴을 붉힌 채 긴장되어 있었다.
                 그때 가신 한 사람이
                 불인은 너무 무례하지 않는가?
                 천자께서는 이미 과음을 하신 셈인데
                 그렇게 큰 잔을 강권해서 쓰겠는가고 참견을 했다.
                 이때 불인이
                 전차의 복철은 후차의 감이라는 옛말이 있습니다.
                 전례에 비쳐서 실수를 되풀이하지 말라는 뜻인 줄
                 압니다. 신하가 되는 일도 군주가 되는 일도
                 다 같이 용이한 일은 아닙니다.
                 지금까지 왕께서 법을 만들고
                 그 법이 금방 지켜지지 않는 선례를 만든다면
                 대관절 어떻게 되겠습니까?
                 깊이 생각해 보시고 마땅히 받아야 할 벌주라면
                 받으시기 바랍니다. 라며 부드러운 음성이었지만
                 뼈대 있는 말이었다.
                 문후가 고개를 끄덕이며 과연 옳은 말이로다. 라며
                 손을 내밀어 큰 대접에 술을 받아 기분좋게 들이켰다.

                 이 이야기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전차가감(前車可鑑)이다.

                 전차가감(前車可鑑)이란
                 앞의 실수를 거울로 삼는다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