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사 시간도 아끼며 사람을 만난다는 고사성어 악발토포(握髮吐哺)
폭정을 일삼던 은(殷)나라의 주왕(紂王)을 멸하고 주(周)왕조를 세운 문왕(文王)의 아들이며 무왕(武王)의 동생인 주공(周公) 단(旦)이 있었다. 주공(周公)과 명재상 강태공은 무왕(武王)을 도와 은(殷)을 멸하고 제후국 주(周)나라를 건립하여 왕조의 기초를 확립하였다.
주(周)왕조가 성립되었을 때 공적에 대한 보상으로 주공(周公)이 노(魯)의 제후로 봉해졌다. 그러나 보좌역으로서 국정에 몰두하다 보니 봉지로 떠날 수가 없었다.
그래서 주공(周公) 단(旦)은 아들 백금(伯禽)을 대신 보내게 되었다. 백금(伯禽)을 보낼 때 주공(周公) 단(旦)은 이렇게 말했다.
"나는 문왕의 아들이고 무왕의 동생이며 지금의 성왕에게는 숙부가 된다. 제후들 중에서는 가장 고귀한 사람인 나까지도 사람이 방문해 오면 一沐三握髮(일목삼악발) 一飯三吐哺(일반삼토포) 한 번 머리를 감을 때에 세 번이나 감던 머리를 움켜쥐고 손님을 맞으러 나갔으며 또 한 번 밥을 먹는 동안 세 번이나 밥을 뱉으면서 천하의 현명한 사람들을 놓치지 않으려고 예(禮)를 소홀히 하지 않으려 노력했다. 그러면서도 부족한 면이 없는가 우수한 인재를 내 잘못으로 놓치지는 않았는가 걱정이 된다. 너도 노(魯)에 가거든 아무리 국군(國君)의 신분이지만 결코 오만한 행동은 물론 그런 인상도 주어서는 안 된다."
이른바 나라를 잘 다스리고 정무를 잘 보살피려면 잠시도 편히 쉴 틈이 없다는 것과 훌륭한 인물을 얻기 위해서는 정성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말해주고 싶었던 것이다. 이 말이 갖는 깊은 뜻은 첫째로 인재의 등용에 신경을 쓴다. 둘째로 겸허한 자세로 부하나 국민에게 임한다는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주공(周公) 단(旦)이 아들 백금(伯禽)에게 한 이 훈계의 말에서 악발토포(握髮吐哺)라는 말이 생겨났다는 것은 잘 알려진 일이다.
주공(周公)이 현자(賢者)를 우대했던 고사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악발토포(握髮吐哺)이다.
악발토포(握髮吐哺)란 직접적인 의미는 머리를 감다가도 젖은 머리를 쥐고 뛰어나오고 밥을 먹다가고 입에 든 음식을 씹어 삼킬 사이도 없이 뱉어 버리고 뛰어나온다는 뜻이다. 그만큼 사람을 만나는 데 있어 기다리게 하지 말고 예(禮)를 철저히 지키라는 말이다. 식사 시간도 아끼며 사람을 만난다는 말이다.<꽃사진: 공작단풍>
'고사 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길을 빌려 쓰고 나중에 그 나라를 쳐서 없앤다는 고사성어 가도멸괵(假道滅虢) (0) | 2017.08.17 |
---|---|
사슴을 쫓는 사람은 산을 보지 못한다는 고사성어 축록자불견산(逐鹿者不見山) (0) | 2017.08.15 |
먹을 가까이 하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검어진다는 고사성어 근묵자흑(近墨者黑) (0) | 2017.08.08 |
비웃고 헐뜯는 나무라는 고사성어 비방지목(誹謗之木) (0) | 2017.08.03 |
슬프지만 겉으로는 슬픔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고사성어 애이불비(哀而不悲) (0) | 2017.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