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먹을 가까이 하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검어진다는 고사성어 근묵자흑(近墨者黑)

박남량 narciso 2017. 8. 8. 19:29


먹을 가까이 하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검어진다는 고사성어 근묵자흑(近墨者黑)



"近朱者赤(근주자적) 近墨者黑(근묵자흑) 붉은 인주를 가까이하면 붉게 되고 먹을 가까이하게 되면 검게 물든다"는 말이 있다. 이는 진(晉) 부현(傅玄)이 편찬한 태자소부잠(太子少傅箴)에 환경의 영향에 의해 악해지기도 하고 선해지기도 한다는 주장하는 대목에 나오는 성어이다.

이 말은 착한 사람과 사귀면 착해지고, 악한 사람과 사귀면 악해질 수 있다는 비유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좋은 습관을 가진 사람과 어울리면 좋은 습관을 갖게 되고 나쁜 습관을 가진 사람과 어울리면 나쁜 습관을 갖게 된다는 말이다.

"夫金木無常 方員應形 亦有隱括 習與性成 故近朱者赤 近墨者黑 聲和則響淸 形正則影直 무릇 쇠와 나무는 일정한 형상이 없어, 겉틀에 따라 모나게도 되고 둥글게도 된다. 또한 틀을 잡아 주는 도지개가 있어 도지개에 따라 습관과 성질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주사(朱砂)를 가까이 하면 붉게 되고, 먹을 가까이 하면 검게 된다. 소리가 조화로우면 울림이 맑으며, 형태가 곧으면 그림자 역시 곧다."

순자(荀子)‘의 권학(勸學)편에도 ‘삼밭의 쑥'이라는 마중지봉(麻中之蓬)이라는 말이 있다. "蓬生麻中 不扶而直 白沙在涅 與之俱黑 쑥이 삼밭에서 자라면 붙들어 주지 않아도 곧게 자라고, 흰 모래가 진흙 속에 있으면 함께 검어진다."는 성어에서 유래된 말로, 쑥(蓬)은 보통 곧게 자라지 않지만 똑바로 자라는 삼(麻)과 함께 있으면 붙잡아 주지 않더라도 스스로 삼(麻)을 닮아 가면서 곧게 자란다는 뜻으로 주위환경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중국 서진(西晉) 때의 학자인 부현(傅玄)이 저술한 태자소부잠(太子少傅箴)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근묵자흑(近墨者黑)이다.

근묵자흑(近墨者黑)이란 먹을 가까이 하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검어진다는 뜻으로 사람은 늘 가까이 하는 사람에 따라 영향을 받아서 변하므로 조심하라는 말이다. 훌륭한 스승을 만나면 스승의 행실을 보고 배움으로써 자연스럽게 스승을 닮게 되고, 나쁜 무리와 어울리면 보고 듣는 것이 언제나 그릇된 것뿐이어서 자신도 모르게 그릇된 방향으로 나아가게 된다는 것을 일깨운 고사성어이다.<꽃사진: 천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