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사물을 인식하려면 실질을 파악하여야 한다는 고사성어 빈모려황

박남량 narciso 2008. 7. 2. 21:08

 


사물을 인식하려면 실질을 파악하여야 한다는

고사성어 빈모려황(牝牡驪黃)

               진나라 목공이 백락에게
               말을 잘 고를 만한 사람을 추천하라고 하자
               그는 구방고라는 사람을 소개하였다.
               그래서 목공은 고방고라는 사람에게
               좋은 말을 구해 오도록 하였다.
               석달 뒤 구방고는 돌아와서 보고하기를

               지금 사구라는 곳에 말이 있습니다.
               누런색의 암놈입니다 라고 했다.
               목공이 다른 사람을 시켜 알아보니
               검은 색에 수놈이라 하였다.

               목공은 곧 백락을 불러서
               구방고라는 자는 말의 색깔과 암수조차도
               구별하지 못했소 라고 꾸짖었다.
               백락은 크게 한숨을 쉬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구방고는 정수만을 파악하고
               대체적인 것은 잊어버립니다.
               그는 속을 살피고서 외모는 잊어버리며
               보아야 할 것만을 보고
               보지 않아도 될 것은 보지 않습니다.
               그는 살펴야만 할 것만을 살피고
               살피지 않아도 될 것은 빠뜨린 것입니다.
               그가 말을 골랐다는 것은
               그 말의 귀중한 특징을 발견하였기 때문일 것입니다.

               얼마 후 그가 골랐다는 말을 데려와 보니
               과연 천하의 명마였다.

               여기에서 유래된 고사성어가
               빈모려황(牝牡驪黃)이다.


               빈모려황(牝牡驪黃)이란
               사물을 인식하려면
               그 실질을 파악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