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불에 머리를 거슬리고 이마를 데어가며 화재를 끈다는 고사성어 초두난액

박남량 narciso 2010. 10. 19. 09:47


불에 머리를 거슬리고 이마를 데어가며
화재를 끈다는 고사성어 초두난액(焦頭爛額)

                서한 선제 때
                강력한 새 경제정책을 들고 나와 백성을 괴롭혀 온
                재상이 밀려나고 새로운 인물들이 등장했을 때
                재상의 정책을 반대하고 재상을 처벌하라고
                주장한 사람들은 잊혀지는 조정의 처사에 대해
                시정을 요구하는 상소문의 내용이다.
                어떤 사람이 방을 새로 뜯어 고치면서 굴뚝을
                아궁이와 일직선이 되게 만들고 또 굴뚝 옆에다가
                땔감을 쌓아 두었습니다.

                이것을 본 어느 사람이 이렇게 충고를 했습니다.
                "굴뚝이 아궁이와 직선으로 있으면 불길이 굴뚝까지
                미치는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땔감까지 그 옆에 쌓아둔다는 것은 더욱
                위험한 일이니 굴뚝을 직선이 안되게 꼬부려 옆으로
                돌리고 그리고 혹시 모르는 일이니 불이 옮길 염려가
                있는 댈감 같은 것을 다른 곳으로 옮겨 놓으십시오.
                그렇지 않으면 화재를 당할 염려가 있습니다."

                그러나 집주인은 설마 어떠랴 하는 생각에 굴뚝을
                고치지도 않고 땔감도 옮기지 않았습니다.
                그러다가 어느날 화재가 일어나고 말았습니다.
                이웃 사람들이 애써 주었기 때문에 불은 곧 잡히고
                큰 피해는 없었습니다.
                주인은 불을 끄느라 애쓴 마을 사람들을 위해
                술자리를 베풀어 머리가 불에 타고 이마에 데인
                사람들을 윗자리로 모셨습니다.
                그런데 화재가 날 것을 미리 걱정하며
                충고해 준 사람은 술 한 잔도 대접하지 않았습니다.

                상소문은 정책을 반대하여 주동자를 처벌하라고
                충간을 한 선비에게는 아무런 은상도 표창도 없이
                뒤늦게 일이 벌어진 다음에야
                야단법석을 떤 사람에게만 무슨 큰 공이나 세운 것처럼
                벼슬이 오르고 녹이 많아지고 한 것을
                상소문은 지적하고 있다.
                이 상소문을 읽은 선제는
                곧 그 선비에게 벼슬을 주었다고 합니다.

                상소문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초두난액(焦頭爛額)이다.

                초두난액(焦頭爛額)이란
                불에 머리를 그슬리고 이마를 데어가며
                화재를 끈다는 말이다.
                이 고사는 우리가 늘 경험하고 있는 세상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