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문필을 버리고 군인이 되어 나라를 지킨다는 고사성어 투필종융과 기문취무

박남량 narciso 2009. 2. 12. 12:42


문필을 버리고 군인이 되어 나라를 지킨다는
고사성어 투필종융(投筆從戎)과 기문취무(棄文取武)


                  동한 안릉지방에 한 서생이 있었는데
                  서역에서 큰 공을 세워 정원후로 책봉을 받은
                  반초로서 한서의 저자 반고의 동생이다.
                  반고가 교서량으로 도성 낙양의 임지로 가자
                  반초도 어머님을 모시고 따라갔다.
                  반고의 형이 박봉으로 생활이 어려워
                  반초는 관청에서 글을 베껴 쓰는 일을 맡아
                  형을 도와 생계를 유지해 나갔다.
                  서적을 베껴 쓴다는 일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기계적으로 무미 건조했다.
                  반초로서는 지겹고 견디기 힘들었다.
                  그는 본래 원대한 포부를 간직하고
                  자기의 이상이 있었음인지라
                  귀중한 세월을 아무 뜻없이 책 베껴 쓰는 일에
                  헛되이 보내기를 원치 않았던 것이다.
                  어느 날 반초는 더 견딜 수가 없어
                  붓을 내어 던지고는 깊은 한숨을 내쉬면서
                  이렇게 말했다.
                  " 대장부가 비록 별 뜻을 지니지 않았더라도
                  부개자나 장건과 같이 이역에서 공을 세워
                  장차 봉후의 지위를 얻어야지,
                  어찌 오랜 세월을 책상머리에만 앉아
                  필묵 사이에 파묻혀 있어야 하는가"
                  이로부터 반초는 문필을 버리고 무예에 종사했다.
                  반초는 명제 때 명을 받고 서역으로 출사하여
                  온갖 고초와 괴로움을 극복하고
                  지혜와 용감함으로 서역의 여러나라를
                  모두 한나라로 예속시켜 납공토록 하였다.
                  이에 조정에서는 그를 정원후로 봉하였다.

                  여기에서 유래된 고사성어가
                  투필종융(投筆從戎)과 기문취무(棄文取武)이다.

                 투필종융(投筆從戎)이란
                 시대가 필요할 때에는 문필을 버리고
                 군인이 되어 나라를 지킨다는 말이다.
                 기문취무(棄文取武)와 같은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