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 보고 칼을 뽑는다는 고사성어 견문발검(見蚊拔劍)
특별히 유래에 대한 고사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논어(論語) 양화편(陽貨篇)에 나오는 공자의 말 “割鷄焉用牛刀(할계언용우도) 닭 잡는데 어찌 소 칼을 쓰리오.”를 꼽을 수 있을 것이다.
굳이 유래를 따지지 않더라도 견문발검(見蚊拔劍)이 뜻하는 바는 분명하다. 검(劍)의 쓰임새는 모기나 닭보다 훨씬 더 크고 힘이 센 짐승을 잡기 위한 것이다. 특히 검의 평소 쓰임새만 봐도 사람이 사람을 해할 때 쓰는 일종의 살인 도구이다.
그런데 모기를 보고 옆구리에 찬 날이 번쩍번쩍하는 큰 칼을 빼 든다면 모기를 잡으려다가 사람을 잡을 수도 있다. 완전히 틀린 쓰임새는 지나치다는 것이다.
논어(論語) 양화편(陽貨篇)의 공자의 말을 유용한 고사성어가 견문발검(見蚊拔劍)이다.
견문발검(見蚊拔劍)이란 모기를 보고 칼을 뽑는다는 뜻으로 작은 일에 직면하였을 때 필요 없을 정도로 지나치게 크게 대응하는 일을 비유하는 말이다.
'고사 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병이 없는데 스스로 뜸질을 한다는 고사성어 무병자구(無病自灸) (0) | 2021.10.23 |
---|---|
신의를 중시하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 계찰계검(季札繫劍) (0) | 2021.10.16 |
풀을 두드려 주위에 있는 뱀을 놀라게 한다는 고사성어 타초경사(打草驚蛇) (0) | 2021.10.02 |
상대방을 공경하되 일정한 거리를 두라는 고사성어 경이원지(敬而遠之) (0) | 2021.09.25 |
몸과 마음은 하나라는 고사성어 심신일여(心身一如) (0) | 2021.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