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 나라와 친교를 맺고 가까운 나라를 공략하는 정책을 말하는 고사성어 원교근공(遠交近功)
전국 시대 위(魏)나라의 책사(策士)인 범저(范雎)는 제(齊)나라와 내통하고 있다는 모함에 빠져 하마터면 목숨을 잃을 뻔했으나 살아나 장록이란 이름으로 행세하며 지냈는데 마침 마침 위나라에 왔다가 돌아가는 진(秦)나라의 사신 왕계(王稽)를 따라 진나라의 함양(咸陽)으로 탈출하는데 성공했다.
왕계(王稽)가 진(秦)나라 왕에게 위나라에
장록 선생이란 사람이 있는데 그는 천하에 뛰어난 변사였습니다. 그가 말하기를 秦王之國
危於累卵 得臣則安 然不可以書傳也臣故載來 진나라는 지금 알을 쌓아 둔 것보다도 더 위험하다. 나를
얻으면 안전하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을 글로는 전할 수 없다고 하여 신이 데리고 왔습니다. 라고 보고했다.
그러나 진(秦)나라 소양왕(昭襄王)은 진(秦)나라는 '累卵之危 알을 쌓아 놓은 것처럼 위태롭다.'고 자국(自國)의 정사를 혹평한 범저(范雎)를 환영하지 않았다. 따라서 범저(范雎)는 소양왕(昭襄王)에게 자신의 장기인 변설(辯舌)을 펼쳐 볼 기회도 없었다.
그런데 소양왕(昭襄王) 36년(B.C. 271) 드디어 범저(范雎)에게 기회가 왔다.
당시 진(秦)나라에서는 소양왕(昭襄王)의 모후인 선태후(宣太后)의 동생 양후(穰侯)가 재상으로서 실권을 잡고 있었는데, 그는 제(齊)나라를 공략하여 자신의 영지인 도(陶)의 땅을 확장하려 했다. 이 사실을 안 범저(范雎)는 왕계(王稽)를 통해 소양왕(昭襄王)을 알현하고 이렇게
진언했다.
"전하, 한(韓)나라, 위(魏)나라 두 나라를 지나 강국인 제(齊)나라를 공략한다는 것은 득책(得策)이 아닌 줄
아옵니다. 적은 병력을 움직여 봤자 제(齊)나라는 꿈쩍도 않을 것이옵고, 그렇다고 대군(大軍)을 출동시키는 것은 진(秦)나라를 위해 더욱 좋지 않사옵니다. 가능한 한 진(秦)나라의 병력을 아끼고 한(韓)나라, 위(魏)나라 두 나라의 병력을 동원코자 하시는 것이 전하의 의도인 듯하오나 동맹국을 신용할 수 없는 이 마당에 타국 너머 멀리 떨어져 있는 제(齊)나라를 공략한다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 아니옵니다.
지난날 제(齊)나라의 민왕이 연(燕)나라의 악의(樂毅)장군에게 패한 원인도 실은 멀리 떨어져 있는 초(楚)나라를 공략하다가 과중한 부담을 안게 된 동맹국이 이반(離反)했기
때문이옵니다. 그때 덕을 본 것은 이웃 나라인 한(韓)나라, 위(魏)나라이온데, 이는 마치 '借賊兵(차적병) 齎盜糧(재도량) 적에게 병기를 빌려주고 도둑에게 식량을 갖다 준 꼴'이 되어 천하의 웃음거리가 되고 말았나이다.
지금 전하께서 채택하셔야 할 계책으로는 '遠交近攻策 먼 나라와 친교를 맺고 가까운 나라를 공략하는 정책'이 상책(上策)인 줄 아옵니다. 한 치의 땅을 얻으면 전하의 촌토(寸土)이옵고 한 자의 땅을 얻으면 전하의 척지(尺地)가 아니옵니까? 이해득실(利害得失)이 이토록 분명 하온데 굳이 먼 나라를 공략하는 것은 현책(賢策)이 아닌 줄 아옵니다."
이 날을 계기로 소양왕(昭襄王)의 신임을 얻은 범저(范雎)는 승진 끝에 재상이 되어 응후(應侯)에 봉해졌고 그의 지론인 원교근공책(遠交近功策)은 천하 통일을 지향하는 진(秦)나라의 외교전략이 되었다. 특히 진시황(秦始皇)은 선대(先代)의 외교 전략인 소왕 시대 재상 범저(范雎)의 원교근공책(遠交近功策)을 철저하게 따랐다.
사기(史記) 범수열전(范雎列傳)에 나오는 고사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원교근공(遠交近功)이다.
원교근공(遠交近功))이란 먼 나라와 친교를 맺고 가까운 나라를 공략하는 정책을 말한다. 먼 나라와 친선을 맺어 후환을 없앤 뒤 가까운 나라부터 차례로 공격하여 천하를 통일하자는 전략이었다.<꽃사진: 만리향>
'고사 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알고 그대가 알고 있다는 고사성어 아지자지(我知子知) (0) | 2017.01.30 |
---|---|
앞뒤의 이치가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고사성어 모순당착(矛盾撞着) (0) | 2017.01.25 |
다음 세대를 칭찬하는 반면 장래가 무섭다는 의미를 가진 고사성어 후생가외(後生可畏) (0) | 2017.01.23 |
좁은 식견으로서는 진상을 알 수 없다는 고사성어 용관규천(用管窺天) (0) | 2017.01.22 |
지도자가 모든 일을 직접 챙겨선 안 된다는 고사성어 불필친교(不必親校) (0) | 2017.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