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매우 무식함을 말하는 고사성어 목불식정

박남량 narciso 2009. 2. 24. 00:33


매우 무식함을 말하는
고사성어 목불식정(目不識丁)



                당나라 사람 장흥정은 부친인 장연상이
                조정에 공적이 위대하여 조상의 덕택으로
                여러 벼슬자리를 거쳐 재상이 되었다.
                그러나 장흥정은 본시 무능하고
                극히 평범한 사람이었는데 권세의 빛을 보자
                하루 아침에 오만불손하여 눈에 보이는 것이
                없게 되었고 세상에 저만한 사람이 없는 것처럼
                자만스럽기 이를 데 없었다.

               당의 목종 초년에 노룡의 절도사로 파견되었다.
               장흥정은 서울에서 향락만을 누렸던 터이라
               부임해 온 후 여러 부하들과 어려운 생활을
               하려 들지 않고 날이면 날마다 가마나 말을 타고
               들로 나가 즐기기만 하는 등 그의 교만하고
               못된 버릇은 군사들의 불만을 품게 되었다.
               군사들의 불만이 대단하다는 말을 전해들은
               장흥정은 반성은 커녕 부하들에게
               모욕적인 언사를 퍼부었다.
               한번은 그의 군사들을 향해

                汝輩挽得兩石力弓  不如識一丁字


                세상은 아무 일도 없는데 너희들은 밤낮
                백근이나 넘는 활들만을 들고 있으니
                글자도 모르는 무식한 목불식정들 만도 못하다고
                업신여기는 언사를 퍼부었다.
                부하들은 그를 매우 미워했다.
                마침내 그가 유주로 순찰을 나갔을 때
                반란을 일으켜 그를 잡아 가두었다.
                그리고 주극용으로 하여금 그 직무를 맡아 보도록
                추대를 하니 조정에서 이 소식을 듣고
                국왕이 장흥정의 직무를 박탈하고
                길주지사로 강등시키고
                주극용을 정식으로 장흥정 직무를 맡아 보게 했다.

                여기에서 유래된 고사성어가
                목불식정(目不識丁)이다.

                목불식정(目不識丁)이란
                글자도 모르는 무식한 사람을 비웃어 하는 말로서
                일자무식이라고 매우 무식함을 말한다.
                불식일정(
不識一丁)이라고도 하며
                속담의 낫 놓고 기역자도 모른다는 뜻이다.
                불식지후, 흉무점묵, 정안활자란 뜻도 같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