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말이나 글이 무엇을 나타내는지 알 수 없다는 고사성어 요령부득

박남량 narciso 2010. 6. 15. 11:12


말이나 글이 무엇을 나타내는지 알 수 없다는
고사성어 요령부득(要領不得)


               한무제는 흉노를 치기 위해 장건을 대월지국으로
               보내는데 대월지국은 흉노 땅을 거쳐야만 되기에
               장건은 수행원과 함께 흉노의 포로가 되었다.
               거기서 10년 남짓 억류생활을 하며 흉노의 여자를
               아내로 얻어 살게 되었다.
               그러나 장건은 흉노가 안심하고 있는 기회를 틈타
               대월지국으로 가게되는데
               대월지국의 왕이 흉노에 의해 죽었기 때문에
               태자가 새로 왕이 되어 있었는데
               태자가 왕이 되어 대하국이라는 땅을 정복하여 살고
               있었는데 땅이 비옥하고 이민족의 침략도 적은 곳이라
               편안한 생활을 하고 있었다.
               그래서 흉노에 대한 복수심도 점점 식어가고
               한나라와는 거리가 멀어 친교를 맺을 생각이 없었다.

               騫從月氏至大夏竟不能得月氏要領  留歲餘還

               장건은 월지에서 대하까진 가긴 했으나
               끝내 월지왕의 참뜻이 무엇인지를 모르고
               1년 남짓 있다가 돌아오고 말았다.
               그러나 돌아오는 길에 다시 흉노에게 붙들려 억류되어
               있다가 마침내 흉노의 왕이 죽고 왕족끼리 권력 다툼을
               하는 혼란한 시기를 틈타 탈출에 성공하여
               한나라 수도 장안을 떠난 13년만에 흉노에서 장가 든
               아내와 안내역과 셋이서 돌아왔다.

               이 이야기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요령부득(要領不得)이다.

               요령부득(要領不得)이란
               요즈음 우리가 쓰는 요령이란 말은
               일의 핵심부분을 일컫는 말로 사용된다.
               말이나 글이 목적과 줄거리가 뚜렷하지 못해
               무엇을 나타내려는 것인지 알 수 없을 때
               요령부득이란 말을 쓴다.
               요령이 좋지 못하다. 요령을 모른다. 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