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음으로 마음에 전한다는 고사성어 이심전심(以心傳心)
송나라 중 도언이 전등록에서 부처님이 돌아가신 뒤에 법을 가섭에게 붙여 마음으로써 마음에 전한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이 말은 석가모니께서는 가섭존자에게 불교의 진리를 전하였거니와, 그것은 以心傳心 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송나라 중인 보제는 영산의 집회에 대해 오등회원에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어느 때 석가세존께서는 영산에 제자들을 모아 놓고 설교를 하셨다. 그때 석가께서는 연꽃을 손에 드시고, 손가락으로 쥐면서 제자들에게 보이셨다. 다른 제자들은 그 뜻을 몰라 잠잠히 있었지만 가섭존자만은 그 뜻을 깨닫고 빙그레 미소지었다. 즉 석가께서 연꽃을 쥐심에 대하여 가섭존자가 미소를 지으니 여기에서 염화미소가 성립된 것이다. 그리하여 석가께서는 가섭존자를 인정하시고 이렇게 말씀하셨다. 내게는 사람이 본래 갖추고 있는 마음의 묘한 덕과 번뇌와 미망에서 벗어나 진리를 깨닫는 마음과 생멸계를 떠난 불변의 진리와 진리를 깨닫는 마음과 다같이 경전이나 언어 등에 의하지 않고 以心傳心으로 전할 수 있다. 나는 이것을 가섭존장에게 부탁한다.
이심전심은 원래 불가의 말이다. 심오한 이치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이므로 마음으로 전하여 마음으로 깨닫게 한다는 뜻이다. 염화미소는 그 상징이었다.
불가의 말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이심전심(以心傳心)이다.
이심전심(以心傳心)이란 말이나 글에 의하지 않고 마음으로 마음에 전한다는 뜻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