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계략에 의해 상대방을 자멸하게 만든다는 고사성어 이도살삼사

박남량 narciso 2011. 4. 12. 19:23


계략에 의해 상대방을 자멸하게 만든다는
고사성어 이도살삼사(二桃殺三士)


                 안자 즉 안영은 제나라 경공을 도와 제나라를
                 다시 살기 좋은 강대국으로 끌어 올린 재상이다.
                 안자의 남다른 지혜를 엿볼 수 있는 강남귤이란
                 이야기가 안자춘추에 있다.
                 제나라 경공을 호위하고 있는 세 장수가 있었다.
                 세 장수는 수양이 부족하여 힘과 공을 자랑하며
                 법을 무시하고 멋대로 행동하는 버릇이 있어
                 조정의 체통이 말이 아니었다.
                 안영은 경공에게 쫓아 버리라고 권했으나
                 임금은 후환이 두려워 말을 듣지 않았다.

                 어느 날 노나라 임금을 초대한 자리에서
                 안영은 만수금도라고 불리는 복숭아 여섯 개를 가져다
                 두 임금과 재상이 하나씩 먹고 두 개를 남긴 다음
                 임금에게 이렇게 청했다.
                 "아직 복숭아가 두 개 남았습니다. 신하들 중에
                 가장 공로가 큰 사람이 자진해서 말하게 하여
                 그 중에서 큰 사람에게 술 한 잔과
                 이것을 상으로 내리시면 어떻겠습니까?"

                 임금은 참으로 좋은 생각이라고 하며 신하들에게
                 말하니 세 장군 중 공손첩이 나와 연회석에 서서
                 옛날 임금을 모시고 사냥했을 때 호랑이가 나와 맨손
                 으로 쳐서 죽였다고 공로를 말하니
                 임금이 그에게 술 한잔과 복숭아를 하나 주었다.

                 이어 세 장군 중 하나인 고야자가 벌떡 일어나서는
                 일찍이 임금을 모시고 황하를 건널 때 괴물이 나타나
                 말을 물고 들어가는 것을 끝까지 쫓아가 죽이고
                 말을 되찾아 왔다고 하니 안영이 황급히 그에게
                 술 한잔과 복숭아 하나를 주었다.
                 그러자 마지막 한 사람인 전개강이 옷을 벗어 붙이고
                 나는 일찍이 임금의 명을 받아 서를 쳐 승리함으로
                 당과 거나라가 임금을 맹주로 모시게 하였다고
                 이 공로면 복숭아를 먹을 수 있겠습니까 하였다.

                 그러자 안영은 공손히 개강의 공로는 두 장군에 비해
                 열 배나 더 크옵니다만 복숭아가 없으니 술 한 잔을
                 내리시고 복숭아는 내년으로 미루는 수밖에 없을 줄
                 아옵니다 하고 아뢰니

                 전개강이 큰 공을 세우고도 복숭아를 먹지 못하고
                 두 나라 임금과 신하들이 모인 앞에서 욕을 당하고
                 웃음거리가 되었다며 자결을 하였다.

                 이에 공손첩이 전개강이 공이 더 큰데 내가 복숭아를
                 받아 사양하지 못하였으니 따라 죽지 못한다면
                 용기가 없는 것이다라며 역시 자결을 하였다.
                 그러자 고야자가 분을 못참고 크게 외치며
                 우리 세 사람은 함께 살고 함께 죽기로 맹세하였다.
                 두 사람이 이미 죽었으니 내 혼자 무슨 낯으로 살아
                 남을 수 있겠는가 하고 역시 자결하였다.
                 이 사건이 유명하게 된 것은 제갈량이 이들 세 장군의
                 무덤이 있는 탕음리를 지나다가 읊었다는
                 양보음 때문이라고 한다.
                 그 시는 이러하다.

                 걸어서 제나라 동문을 나가
                 멀리 탕음리를 바라보니
                 마을 가운데 세 무덤이 있는데
                 나란히 겹쳐 서로 꼭같다.
                 이것이 뉘집 무덤이냐고 물었더니
                 전강과 고야자라고 한다.
                 힘은 능히 남산을 밀어내고
                 문은 능히 지기를 끊는다.
                 하루 아침에 음모를 만나
                 두 복숭아로 세 장사를 죽였다.
                 누가 능히 이 짓을 했는가
                 상국인 제나라 안자였다.

                 이 이야기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이도살삼사(二桃殺三士)이다.

                 이도살삼사(二桃殺三士)란
                 복숭아 둘로 세 무사를 죽였다는 말이다.
                 계략에 의해 상대방을 자멸하게 만드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