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심은 암귀를 낳게 한다는 고사성어 의심생암귀(疑心生暗鬼)
한비자의 세난편에 있는 이야기이다. 송나라에 부자가 살고 있었다. 오랜 장마가 계속되어 저택의 담이 무너졌을 때 아들이 그것을 보고 빨리 수리해 놓지 않으면 도둑이 들지 모릅니다. 라고 말했는데 이웃 노인도 같은 충고를 했다. 그러자 그날 밤, 과연 도둑이 들어 물건을 훔쳐 갔는데, 이 부자 집에서는 아들에게는 선견지명이 있다 칭찬하고 이웃 노인에게는 암만해도 수상하다고 협의를 걸었다고 한다. 참으로 인간의 마음이란 알 수가 없다.
설부편에 또 하나 이런 이야기가 있다. 뜰에 있는 오동나무가 말라 죽었다. 그러자 이웃 노인이 말라 죽은 오동나무는 재수가 없다는데... 하고 충고를 해 주므로 그 나무를 잘라버렸는데 노인은 땔감으로 쓸테니 자른 나무를 달라고 하니 화를 벌컥 내며 자기집 땔감으로 하기 위해 속이고 나무를 자르게 한 것이 아니요. 라고 했다. 어떻게 해석하면 좋을까? 음흉한 생각에서 한 말이라면 다시 말할 필요가 없지만 친절한 충고였다면 의심암귀에 의해 협의의 씨가 된 셈이다.
이 이야기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의심생암귀(疑心生暗鬼)이다.
의심생암귀(疑心生暗鬼)란 의심은 암귀를 낳게 한다는 말은 선입관은 판단의 정확성을 잃는다고 해석해도 좋을 것이다. 의심생암귀는 자기 마음 속에 의아한 것이 있으면 그 마음에서 여러 가지의 무서운 생각이 솟아 나옴을 이르는 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