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타산지석 (他山之石)
시경의 싯귀이다. 학이 높은 언덕에서 울거늘 그 소리는 온 들에 들리는 도다.
물고기가 잠겨 연못에 있다가 물가로 나와 노니는 도다.
저 동산에는 즐겁게도 심어 놓은 박달나무가 있으며 그 아래에 개암나무가 있도다.
남의 산의 돌도 숯돌로 삼을 수 있도다.
학을 노래한 처음의 두 절은 현명한 사람은 들에 숨겨 놓아도 그 이름이 저절로 나타난다는 것으로
물고기를 노래한 두 절은 현명한 사람이 들에서 유유자적하는 모습을
동산을 노래한 세 절은 위에는 밝은 임금이 있어도 그 아래에는 소인이 없다고는 말할 수 없다는 것을
그리고 마지막 두 절은 현명한 사람을 맞이할 것을 은근히 비유한 것이라고 풀이할 수 있다.
남의 산에서 나온 거친 돌이라도 자신의 구슬을 가는 숯돌로 사용할 수 있다는 싯귀에서 나온 고사성어 타산지석 (他山之石)
다른 산에서 난 나쁜 돌도 자기의 구슬을 가는 데에 소용이 된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하찮은 언행일지라도 자기의 지덕을 연마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는 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