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산책

고려시대의 유행가와 신성

박남량 narciso 2006. 6. 21. 10:52

고려시대의 유행가와 신성



                            몽고가 고려를 굴복시킨 후
                            다시 등을 돌리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 고려와의 국혼을 강요하게 되었다.

                            원나라의 공주를 장차 고려국의 왕이
                            될 태자에게 시집보내는 정책을 말한다.

                            원나라에 있던 충렬왕의 세자가
                            어머니의 부음을 듣고 고려로 돌아와
                            충렬왕 24년 세자에게 왕위을 양위하여
                            왕위에 오르니 충선왕이다.
                            젊은 왕은 정치풍토를 새롭게 한다면서
                            학자들을 우대하는 한편 충렬왕의 측근
                            에서 아첨하던 무리들을 모두 몰아냈다.
                            그러던 중 조인규의 딸 조비를 편애
                            하게 되어 계국공주와의 사이에 불화가
                            심해지자 계국공주는 조인규와 그의
                            일가족을 문초하고 원나라로 압송토록
                            하는 등 불화가 점점 심해지자
                            충렬왕을 따르던 무리들이 모의하여
                            충선왕을 참소하니 원나라에서는 다시
                            왕위를 충렬왕에게 넘기고 충선왕을
                            원나라로 끌고 갔다.
                            이때부터 충렬왕의 측근에는 간신배가
                            모이기 시작하여 각도에 사람을 보내
                            꽃같은 예기들을 모아들였으며
                            궁중의 관비나 무당 가운데 춤을 잘
                            추고 노래를 잘 부르는 명창들 역시
                            불러들여 비단옷을 입히고 노래와
                            춤을 연습시켰다. 이 가운데서 우수한
                            자를 선발하여 머리에 갓을 씌우고
                            남장을 시켜 새로운 노래를 가르치니
                            이것이 신성이다.
                            이 노래는 일종의 유행가로서 당시의
                            시대상을 표현해 주고 있다.
                            그들은 왕과 함께 삼장사에 나가
                            놀면서 노래를 불렀다.

                           三藏寺裏點燈去
                       有社主兮執吾手
                       黨此言兮出寺外
                       謂上座兮是汝語

                            삼장사에 점등하러 가니
                            사주놈이 이내 손을 잡았네
                            이 말이 밖에 새 나가게 되면
                            상좌놈아! 네 입에서 나온 말이리라.

                            또 다른 노래도 많이 불리었다.

                          有蛇含龍尾
                       聞過太山岑
                       萬人名一語
                       斟酌左兩心

                            뱀이 용의 꼬리를 물고
                            슬그머니 태산을 지나가는듯
                            여러 사람이 한마디씩 할 때
                            너와 나의 두 마음 짐작할게로다.

                            이러한 노래를 곡조에 맞추어 부르며
                            음탕한 놀이를 즐겼다.
                            노래 자체가 삼장사를 중심으로
                            남녀간의 음란한 행동을 상징하는 뜻이다.
                            이러한 노래가 민요로서 불렸다니
                            당시의 문란한 기강을 엿 볼수 있다.



'역사 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죽교의 충절  (0) 2006.06.26
고려의 멸망과 최여  (0) 2006.06.23
계모를 감동시킨 효자의 마음  (0) 2006.06.19
울음바다가 된 누각짓는 일터  (0) 2006.06.17
효자이야기 - 효자할고설화  (0) 2006.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