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산책

고국천왕 과 을파소 그리고 진대법

박남량 narciso 2006. 10. 19. 12:27

 

고국천왕 과 을파소 그리고 진대법
                          

                         고구려의 고국천왕은 새로운 정치를
                         펴고자 했으나 왕실의 몇 사람에 의해                     
                         나라의 권세를 잡고 백성들을 핍박함이
                         이루 말할 수 없었다.
                         백성들의 원성이 높아져
                         왕의 귀에까지 들어오게 되자
                         고국천왕은 새로운 인재를 찾았다.

                         이때 안류를 추천하니 고국천왕이
                         안류를 불러 국상으로 임명을 하려 하자
                        「
신은 사실상 속이 좁고 어리석어 큰 정치에
                         참여할 재목이 전혀 못 굅니다. 서쪽 압록
                         골짜기에 좌물촌이라는 마을이 있는데
                         그곳에는 유리왕조의 대신 을소의 자손으로
                         을파소라는 인물이 있사온데
                         그 사람은 한낱 농부로서 파묻혀 지내고
                         있습니다만 대왕께서 참다운 정사를
                         펴고자 하신다면 그를 불러다 쓰시옵소서」
                         안류는 자기 대신 을파소를 적극 추천했다.

                         고국천왕은 사람을 보내어
                         공손한 말과 두터운 예로 을파소를 청했다.
                         임금의 부름을 받고 왕궁으로 온
                         을파소의 옷은 검소했으나 풍채가 당당했으며
                         눈에서는 광채가 나니 임금은 흡족했다.
                         고국천왕이 중외대부라는 벼슬을 내리면서
                        「 나라의 대들보가 되어 갈고 닦은 학문을
                         나라 돌보는 일에 쏟아 주기를 바라오」하니
                         을파소는 머리를 조아려 예를 표하고 나서
                         임금이 내린 벼슬을 사양하였다. 
                         다시 우이라는 벼슬을 주며 간곡히 부탁하니
                         을파소는 나라를 위해 일해 볼 뜻은 있으나
                         주어진 벼슬로는 소신껏 일하기가 어렵다고
                         판단되었으므로 계속 사양을 했다.
                         고국천왕은 그제야 을파소의 속뜻을 헤아리고
                         그에게 국상이라는 파격적인 벼슬을 내렸다.

                         알려지지 않은 시골뜨기가 국상으로 임명되니
                         왕실의 친척되는 벼슬아치들은 물론이고
                         여느 신하들까지 내놓고 불평을 터뜨렸다.
                         이리하여 몇몇 신하가 주동이 되어
                         을파소의 국상 임명을 반대하는 상소를 하니
                         이에 대왕은 어명을 내렸다.
                        「 을파소가 농부 출신이라 하여 국상에
                         임명되는 것이 못마땅하다고 불평을 하나
                         본래부터 귀한 사람이 어디 있겠으며
                         또 천한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그가 귀한 생각을 하고 귀하게 행동하면
                         귀한 사람이고 그가 천하게 생각하고
                         천하게 행동하면 천한 사람이 아니겠는가. 
                         앞으로 새로 임명된 국상에게 불만을 갖거나
                         복종하지 않는 자는 벼슬을 박탈하고 심하게는
                         목숨을 빼앗을 것이며 귀양을 보낼 것이다」
                         
                         국상에 임명된 을파소는 첫 조정회의에서
                         여러 신하들을 보고 이렇게 타일렀다.
                        「 무릇 선비라 함은 때를 만나지 못하면 숨고
                         때를 만나면 나아가 선정을 펴서
                         임금을 돕는 게 도리입니다. 이제 나라의
                         중책을 맡아 일을 벌여 나가려다 보니
                         내가 학문에서 배운 것보다 농사에서 배운
                         것이 더 많고 유익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소.
                         농사를 짓다 보면 벌레 한 마리라도 때를
                         맞추어 있을 자리에 있어야 함을 배우게 되오」
                         하면서 새로 일할 새 신하들을 임명하는데
                         을파소가 국상되는데 반대하여 상소를 올린
                         사람을 자신의 측근 중의 한 명으로 뽑았다.
                         을파소는 역시 명재상이었다.
                         을파소의 태도에 고국천왕은 물론이고
                         신하들까지 놀랐으며 조정 세력이 모아졌다.
                         고국천왕은 을파소를 추천한 안류를 불러
                         대사자라는 벼슬을 내렸다. 

                         
국왕의 절대적 믿음을 받은 을파소는
                         이에 보답이라도 하듯 교육 제도를 개편하고
                         진대법을 비롯한 경제 정책 개혁 등을 통해
                         정치를 바로잡아 고구려를 부강하게 만들었다.

                         진대법은 고구려가 가장 먼저 실시한 제도로서
 
                               
을파소의 건의에 따라 실시한 빈민 구제책이다.
                         흉년이나 춘궁기에 국가가 농민에게
                         양곡을 대여해 주었다가 수확기에 갚도록 한
                         우리나라 역사상 처음으로 실시된 농민구호제도로
                         진(賑)은 흉년에 굶주린 백성에게
                         곡식을 나누어 주는 것을 뜻하고
                         대(貸)는 봄에 미곡을 대여하였다가
                         가을 추수 후 회수하는 것을 의미한다.
                         
진대법의 실시로 농민들은 보다 안정적으로
                         생업에 종사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제도는 고려, 조선시대로 이어져
                         상평창, 의창, 연호미법, 환곡 등의
                         여러 가지 제도로 재정비되어 발전하였다.
                         
11세기 송나라의 개혁적 정책이었던 청묘법은
                         고구려의 진대법을 본받아 시행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