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몽요결의 몸가짐에 대한 구용과 구사
九容
아홉 가지 행동을 말하는 것이다.
첫째 足容重(족용중)
걸음걸이를 무겁게 하라.
이것은 모든 행동을 가볍게 해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둘째 手容恭(수용공)
손가짐을 공손히 하라.
이 말은 남 앞에서 거만해서는 안되고
일이 없을 때에는 두 손을 단정히 모으고
분수없이 움직여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셋째 目容端(목용단)
눈가짐을 단정히 하라.
이것은 눈을 똑바로 하고 흘겨보거나
간사하게 보지 말아야 함을 뜻한다.
넷째 聲容靜(성용정)
말소리는 조용히 하라.
이 말은 재채기나 가래침 등 쓸데없는
소리를 내지 않아야 함을 뜻한다.
다섯째 頭容直(두용직)
머리가짐은 항상 곧게 하라.
이 말은 머리를 항상 꼿꼿하게 하고
몸을 한쪽으로 기울이거나 비슫듬하게
가져서는 안 됨을 뜻한다.
여섯째 氣容肅(기용숙)
숨쉬기를 정숙하게 하라.
이 말은 호홉을 잘 조절해서
소리를 내어서는 안 됨을 뜻한다.
일곱째 立容德(입용덕)
서 있을 때는 덕스럽게 하라.
이것은 몸을 한쪽으로 기울이거나
비뚤어지게 하지 말고 덕스럽게
똑바로 서야 함을 말한다.
여덟째 色容壯(색용장)
얼굴 모습을 늘 씩씩하고 엄숙하게 하라.
아홉째 口容止(구용지)
입은 조용히 가져라.
이 말은 말을 하거나
음식을 먹을 때 말고는
항상 입을 다물고 있어야 함을 말한다.
九思(구사)는 학문을 닦고 지혜를 더하기
위한 지표로서 사람이 늘 생각해야 할
아홉 가지 일을 말하는 것이다.
첫째 視思明(시사명)
밝게 보아야 한다는 것으로
어떤 일을 보는데 공정하게 욕심 없이
보아야 모든 일이 밝게 보임을 말한다.
둘째 聽思聰(청사총)
남의 말을 듣는 데 총명하여야 한다.
이 말은 듣는데 성실하고 가리움이 없으면
저절로 밝아짐을 뜻한다.
셋째 色思溫(색사온)
안색은 온화하게 할 것.
이것은 얼굴에 노여움이나 서러움을
내비치지 않고 온화하게 가져야 함을 말한다.
넷째 貌思恭(모사공)
모습을 공손히 할 것.
이것은 몸을 단정히 가지고 남에게
뻣뻣하게 보이지 않아야 함을 말한다.
다섯째 言思忠(언사충)
말할 때는 언제나 충성을 생각할 것.
이것은 한 마디 말을 하더라도
충성과 신의에 어긋나는 말은
하지 말아야 함을 뜻한다.
여섯째 事思敬(사사경)
일하는 데는 경건을 생각할 것.
어떤 일을 하더라도 공경하는
마음으로 조심스럽게 해야 하고
함부로 해서는 안 됨을 뜻한다.
일곱째 疑思問(의사문)
의문이 있을 때는 물을 것.
의심나는 일이 있을 때는
잘 아는 사람에게 물어서
반드시 그 까닭을 알도록 해야 한다.
여덟째 忿思亂(분사란)
화가 나는 일이 있어도 참을 것.
아무에게나 마구 화를 내는 것은
무식하고 어리석은 사람의 행동이다.
이성으로 억제하는 힘이 있어야
큰 인물이 될 수 있다.
아홉째 見得思義(견득사의)
옳지 못한 것은 가질 생각을 하지 말 것.
돈이나 값나가는 물건을 얻게 되었을 때는
그것을 가져도 잘못된 것인지 아닌지를
생각해 보고 가져야 함을 말한다.
모두 사람이면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인
구용과 구사이다.
누구나 이 구사와 구용을 마음에 새겨
어긋남이 있는지를 살펴야 한다.
잠시라도 마음을 놓아서는 안 된다.
자신의 행동을 반성해야 할 것이다.
잘못에 빠져들지 않도록
자신의 몸을 지키는 데는
네 가지 꼭 알아야 할 것이 있다.
예가 아니거든 보지 말라.
예가 아니거든 듣지 말라.
예가 아니거든 말하지 말라.
예가 아니거든 움직이지 말라.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너무나 닮은 바위 엉덩이 (0) | 2006.08.14 |
---|---|
명언 - 애정은 책임을 짊어지게 된다 / 토스토예프스키 (0) | 2006.08.13 |
논어 - 뒤늦게 시드는 소나무와 잣나무 (0) | 2006.08.11 |
어떤 철학자의 죽음 (0) | 2006.08.11 |
남편의 잠꼬대 (0) | 2006.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