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를 절개의 표상으로 삼았다 이이는 세한삼우라 하여 송·죽·매를 꼽았고 윤선도는 그의 시조 오우가에서 벗으로 쳤다
속리산 법주사 입구에 있는 정이품송은 세조가 행차할 때 타고 가던 연이 소나무 밑을 지날 때 스스로 가지를 들어올려 연이 무사히 지나갈 수 있게 하였다 세조는 이 소나무의 신기함에 탄복하여 정이품의 벼슬을 내렸다 강원도 영월의 장릉 주위에 있는 소나무들은 모두 장릉을 향해 마치 읍을 하는 것 같은 모습으로 굽어져 있다 이는 단종을 애도하고 그에 대한 충절을 나타낸 것이라고 믿고 있다.
소나무는 오래 사는 나무이므로 예로부터 십장생의 하나로 장수를 나타냈으며 비바람, 눈보라의 역경 속에서 푸른 모습을 간직하고 있어 꿋꿋한 절개와 의지를 나타내는 상징 꿈에 소나무를 보면 벼슬을 할 징조이고 솔이 무성함을 보면 집안이 번창하며 송죽 그림을 그리면 만사형통이라 해몽한다 반대로 꿈에 소나무가 마르면 병이 난다
마을을 수호하는 통신목 중에는 소나무가 큰 비중을 차지하며 산신당의 산신목은 거의 소나무이다 소나무가지는 부정을 물리치고 제의공간을 정화하는 뜻을 가진다 밖에서 들어오는 잡귀와 부정을 막아 제의공간을 정화하고 신성화하한다 출산 때나 장을 담을 때에 치는 금줄에 숯·고추·백지·솔가지 등을 꿰는 것도 잡귀와 부정을 막기 위한 것이다.
성주풀이에서 대주가 잡는 성줏대는 소나무가지이며 성주의 상징이다 성주는 천성의 천궁에서 살았는데 하늘에서 죄를 짓고 지상으로 유배되었다 강남에서 오던 제비를 따라 경상북도 안동 땅 제비원에 이르러 솔씨를 받아 산천에 뿌렸다 그 솔이 자라 재목감이 되자 성주는 자손번창과 부귀공명을 누리게 해줄 성주목을 골라 집을 지었다 이 때 성주는 대들보에 좌정하였으므로 상량신이라고도 한다.
오늘은 12 월 14 일 오늘의 탄생화는 소나무 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