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법률

파업기간 중에 노동조합 전임자에 대하여 급여지급 의무 여부 판단기준

박남량 narciso 2011. 2. 18. 11:49

 

파업기간 중에 노동조합 전임자에 대하여 급여지급 의무 여부 판단기준


          - 대법원 1995. 11. 10. 선고 94다54566 판결 -
          - 대법원 1998. 4. 24. 선고 97다54727 판결 -

         노동조합 전임자는 사용자와의 사이에
         기본적 노사관계는 유지되고
         근로자로서의 신분도 그대로 가지는 것이지만
         근로제공의무가 면제되고
         사용자의 임금지급의무도 면제된다는 점에서
         휴직상태에 있는 근로자와 유사하고,
         사용자가 단체협약 등에 따라 노동조합 전임자에게
         일정한 금원을 지급한다고 하더라도
         이를 근로의 대가인 임금이라고 할 수는 없다고 하였습니다.

          - 대법원 2011.2.10 선고 2010도10721 판결 -

         파업기간 중에 사용자가 노동조합 전임자에 대하여
         급여를 지급할 의무가 있는지 여부는
         구체적 사건마다 당해 사업장의 단체협약 기타 노사합의의 내용 및
         당해 사업장의 노사관행 등을 참작하여
         개별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창원지방법원 2010.7.23 선고 2010노127 판결),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사정을 들어
         이 사건 단체협약 제9조의 규정은
         노동조합 전임자를 근로계약상 본래의 근로제공 업무에 종사하는
         일반조합원보다 불리한 처우를 받지 않도록 하는 범위 안에서
         노동조합 전임자에게 일정한 급여를 지급하기로 한 것이라고 판단한 후,
         위와 같은 단체협약의 규정을 둔 목적이나 취지 등에 비추어 볼 때,
         이는 일반조합원들이 무노동 무임금의 원칙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파업기간 중의 임금을 지급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노동조합 전임자도 일반조합원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에게 급여를 청구할 수 없다는 내용으로 해석함이 상당하다고 보아,
         노동조합 전임자에게
         근로자들의 파업기간에 해당하는 부분의 급여를 지급하지 아니한
         피고인의 공소사실 행위에 대하여 무죄를 선고하였는바,
         원심판결의 이유 설시에 다소 적절하지 아니한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위 공소사실을 무죄로 본 원심의 결론 자체는
         앞서 본 법리 및 기록에 비추어 정당하다.

         원심판결에는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단체협약의 해석 또는 그 위반에 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다. 라고 하였습니다.





          - 대법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