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자식을 바꾸어 먹는다는 고사성어 역자이식

박남량 narciso 2010. 1. 25. 15:58


자식을 바꾸어 먹는다는
고사성어 역자이식(易子而食)


                  송나라가 초나라의 포위를 당해
                  다섯 달을 계속 버티던 끝에 나중에는 먹을 것도
                  없고 밥지을 땔감도 없어서
                  "자식을 바꿔서 먹고 뼈를 쪼개서 밥을 지었다"고
                  춘추좌씨전에 이 사실이 적혀 있다.
                  같은 내용을 사기에는
                  折骨而炊  易子而食
                  뼈를 쪼개어 밥을 짓고 자식을 바꾸어 먹었다. 고
                  기록하고 있다.
                  이때의 사정을 동주열국지에서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우사 화원은 마지막 수단으로 술책을 써서
                  밤에 초나라 대장 공자가 자는 방으로 들어가
                  칼을 겨누며 포위를 풀어줄 것을 요구했다.
                  이때 공자측이 송나라 성중의 상황을 물었을 때
                  화원은 이렇게 대답했다.
                  "자식을 바꾸어서 먹고
                  뼈를 주워서 밥을 짓고 있습니다."
                  그러자 공자 측은 놀라 물었다.
                  "병법에 의하면 허하면 실한 체하고 실하면 허한 체
                  한다 했는데 당신은 어째서 실정대로 말하십니까?"
                  "군자는 남의 위태로운 것을 불쌍히 여기고 소인은
                  남의 불행을 다행으로 안다고 했습니다. 원수께서
                  군자이신 줄 알기 때문에 감히 숨기지 않았습니다."
                  그러자 공자 측은 초나라 역시 7일 먹을 양식 밖에
                  없다는 것을 말하고 이튿날 포위를 풀어
                  30 리 후퇴할 것을 약속한다.
                  두 사람은 이것을 계기로 결의형제를 맺고
                  약속대로 이튿날 초나라 군사가 후퇴한 다음
                  두 나라는 강화를 하게 된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나온 고사성어가
                  역자이식(易子而食)이다.

                  역자이식(易子而食)이란
                  자식을 바꾸어 먹는다는 것이다.
                  중국같이 평야가 끝없이 계속되는 지방에는
                  한 번 큰 흉년이 밀어닥치면 수만 명의 굶주린 백성
                  들이 초근목피를 찾아 헤매다가 급기야는 어린 자식을
                  서로 바꾸어 어른의 생명을 유지하려는 상상조차 하기
                  어려운 사태에 까지 이른다고 한다.
                  이런 현상이 흉년이 아닌 전쟁으로 인해서도
                  가끔 일어나곤 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