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산책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작가 미상의 <해태(獬廌, 獬豸)>

박남량 narciso 2016. 9. 28. 12:51


우리 미술관 옛그림

작가 미상   <해태(獬廌, 獬豸)>


 

해태(獬廌, 獬豸)는 동아시아 고대 전설 속의 상상의 동물입니다. 해치(獬豸)라고도 합니다. 생김새는 사자와 비슷하나 기린처럼 머리에 뿔이 있다고 정의하며 목에 방울을 달고 있으며 몸 전체는 비늘로 덮여 있다고 합니다. 해태(獬廌)는 소의 머리와 말의 얼굴(牛首馬面)에 뿔이 하나 돋은 생김새를 하고 있으며 옳고 그름, 선과 악을 가릴 줄 알아서 다툼과 싸움의 현장에서 악한 자를 외뿔로 받아 버린다고 알려진 상상의 동물입니다.

해태(獬廌)는 용이나 봉황처럼 문양으로도 사용되었습니다. 조선시대 관리 중 문관의 흉배에는 학(鶴)을 수높았으며, 무관의 흉배에는 호랑이(虎)를 수놓았습니다. 해태(獬廌)는 정사를 논의하고 풍속을 바로잡으며 관리의 비행을 조사하여 책임을 규탄하는 일을 맡아보던 사헌부의 수장인 대사헌의 흉배에 수놓았습니다. 그리고 세시풍속(歲時風俗)에 관한 기록에 의하면 정월이면 대문에 용(龍)이나 호랑이(虎) 그림을, 부엌문에는 해태(獬廌) 그림을, 광문에는 개(犬) 그림을, 안채와 사랑채 사이의 중문에는 닭(鷄)을 그려 붙인다는 풍습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해태(獬廌) 그림은 항상 불을 다루는 부엌에 붙였으니 해태(獬廌) 그림이 화재를 막아주는 벽사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는 것입니다.

조선시대 흥선대원군이 1865년 경복궁을 중건할 때 원인 모를 불이 자주 일어나자 그 원인을 알아보니 관악산이 유달리 불의 기가 강하여 불이 자주 일어난다고 하여 그 대책으로 돌로 해태상을 만들어 광화문에 세움으로써 화재를 막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현대에는 국회의사당에 세워진 해태상은 국회의사당의 화재를 막고 국사를 논할 때 불의와 타협하지 말고 정의롭게 정치를 펼치라는 의미가 있으며, 대검찰청에 세워진 해태상은 정의 사회를 구현하라는 의미가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