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옛 그대로 있어 진보되지 않은 자라는 고사성어 오하아몽

박남량 narciso 2010. 3. 19. 16:55


옛 그대로 있어 진보되지 않은 자라는
고사성어 오하아몽(吳下阿蒙)


                위나라, 오나라, 촉한이 정립해서 싸우고 있던
                삼국시대에 오왕 손권이 신하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학문이란 자기 스스로가 개척해 나가야 한다.
                저 여몽은 처음에 아무런 학문도 없었다.
                나는 그에게 배울 것을 권했다.
                한번 시작하자 여몽은 끊임없이 계속했다.
                그러는 동안 노숙이 몽하고 의논을 해 보았다.
                노숙이 당해낼 수 없으리만큼 박식했다.
                노숙은 기뻐하고 몽을 쓰다듬으며 말했다고 한다.
                그대가 무(武)에 뛰어난 것은 잘 알고 있으나
                이렇게 학식도 넓어져 

                非復吳下阿蒙

                이젠 오에 있을 때의 몽하고는 아주 딴 판이로구나.
                라고 하자 아몽은 의기양양 말했다.

                士別三日 卽更刮目相待

                사(士)란 헤어져 3일이 지나면
                다음에 만날 때 눈을 비비고 보아야 한다.
                나날이 진보되는 것이다.
                비부오하아몽(非復吳下阿蒙)이란
                한참 만나지 못한 동안에 놀랄 만큼 장족의 진보를
                한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여기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오하아몽(吳下阿蒙)이다.

                오하아몽(吳下阿蒙)이란
                비부오하아몽(非復吳下阿蒙)이 학문이 진보되었을 때
                또는 면목을 일신했을 경우를 나타내므로
                반대로 옛 그대로 있어 조금도 진보되지 않은 자나
                학문이 없는 보잘 것 없는 인물을 말하는데
                몇 해가 지나도 진취함이 없이 그냥 그 모양으로 있는
                사람이나 학문이 없는 쓸데없는 사람을 말한다.